행동주의 직업상담의 불안감소기법
행동주의 직업상담에 있어 직업 관련 의사결정문제는 내담자의 불안을 반조건형성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내담자가 의사결정에 대한 언급을 하게 되면 무조건 불안이 발생한다. 의사결정에 대한 언급과 불안의 결합을 풀기 위해 내담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언급과 내담자와 상담자의 특수한 조건관계를 시간적으로 근접시켜 짝지어 제시한다.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특수한 조거관계가 수용적, 허용적, 무조건적 긍정, 온정적 관계로 형성되면 이 관계는 내담자에게 수용감, 안정감, 자신감 등의 반응을 낳게 한다. 내담자가 경험하는 수용감, 안정감, 자신감 등이 불안반응보다 강하게 되면 의사결정에 대한 언급을 해도 내담자는 불안을 경험하지 않게 된다. 그럼 이제부터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불안감소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체계적 둔감법 또는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행동주의 상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법으로 혐오스러운 느낌이나 불안한 자극에 대한 위계목록을 작성한 다음 낮은 수준의 자극에서 높은 수준의 자극으로 상상을 유도함으로써 혐오나 불안에서 서서히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불안과 공포증이 있는 내담자에게 그로 인한 부적응 행동이나 회피행동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2. 금지조건형성(Inhibitory Conditioning) 또는 내적 금지(Internal Inhibition)
내담자에게 충분히 불안을 일으킬 수 있을만한 단서를 어떠한 추가적인 강화 없이 지속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처음에 불안반응을 보이던 내담자가 점차적으로 불안반응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불안야기단서의 계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반응 중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3. 반조건형성 또는 역조건형성(Counterconditioning)
조건 자극과 새로운 자극, 즉 조건 자극과 조건반응과의 연합을 방해하는 자극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직업상담장면에서 내담자의 불안은 직업결정에 관한 내담자의 말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상담자는 조건 자극으로서 '말'과 조건반응으로서의 '불안'에 새로운 조건 자극인 '촉진적 상담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내담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홍수법(Flooding)
불안이나 두려움을 발생시키는 자극들을 계획된 현실이나 상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제시하는 기법이다. 혐오스러운 느낌이나 불안한 자극에 대해 미리 준비를 갖추도록 한 후 가장 높은 수준의 자극에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혐오나 불안을 극복하도록 한다.
5. 혐오치료(Aversion Therapy)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혐오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부적응적인 행동을 제거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술을 끊고자 하는 사람에게 술을 맛보도록 하는 동시에 전기 쇼크나 구토를 일으키는 약물을 부여함으로써 점차적으로 술에 대해 혐오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한다.
6. 주장훈련 또는 주장적 훈련(Assertive Training)
내담자의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으로서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 이외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여 불안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행동시연을 활용하여 상담자가 가상의 대인관계 장면을 설정함으로써 내담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도록 유도한다.
7. 자기표현훈련(Self-Expression Training)
자기표현을 통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는 기법으로서 대인관계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표현행동을 하는 사람은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며 자신을 위해 신중하게 행동을 선택함으로써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크라이티스의 포괄적 직업상담과정 3단계 (0) | 2024.07.09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학습촉진기법 (0) | 2024.07.08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의 유형과 상담의 목적 (0) | 2024.07.03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닥학 실기 기출 문제 -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의 6단계 (1) | 2024.07.02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 유형 (0)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