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 유형

summeru 2024. 7. 1. 15:07
반응형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 유형


발달적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생애단계를 통한 진로발달의 측면에 중점을 두는 접근법으로 진로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 발달적 직업상담이론은 내담자가 직업상담에서 언급된 직업의사결정의 문제와 내담자의 전반적인 직업성숙 사이의 일치성을 다루어 왔다. 발달적 직업상담의 대표학자로는 수퍼(Super), 긴즈버그(Ginzberg), 타이어드만(Tiedeman) 등이 있는데 그중 수퍼는 '진단(Diagnosis)'이라는 표현 대신 '평가(Appraisal)'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두 개념이 근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평가'라는 표현이 '진단' 보다는 더 포괄적이고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수퍼는 내담자의 문제들뿐만 아니라 잠재력에도 초점을 두어 세 가지 평가유형을 제시하였는데, 그럼 이제부터 그 평가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수퍼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유형

1. 문제의 평가

문제의 평가는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진로상담, 직업 상담에 대한 기대를 평가한다.

2. 개인의 평가

개인의 평가는 내담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상태에 대한 통계자료 및 사례연구에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심리검사, 임상적 방법,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내담자의 흥미, 적성, 능력 등을 평가한다.

3. 예언평가

예언평가는 예후평가라고도 하며 내담자에 대한 직업적이고 개인적인 평가를 토대로 내담자가 성공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예언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문제평가와 개인평가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어떤 직종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를 예언한다.

※ 발달적 직업상담의 주요 기법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상담자에게 유용한 기법에는 진로자서전과 의사결정일기가 있다. 진로자서전은 내담자가 과거에 어떻게 의사결정을 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과선택, 아르바이트 경험 등 일상적 결정에 대해 내담자가 자유롭게 기술하게 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과거에 어떻게 진로의사결정을 했는가를 알아보는 재검토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에 관한 자료, 면담하는 동안 토론을 촉진시켜 주는 자료가 된다. 한편, 의사결정일기는 내담자가 매일 어떻게 결정하는가 하는 현재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일상적인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 의사결정 방식을 작성해보게 한다. 여기서 일상적인 자신의 의사결정은 무엇을 입고, 무엇을 먹을 것인가 등에 대한 것이다. 의사결정일기는 진로자서전의 보충역할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