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의 6단계
발달적 직업상담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있어 내담자가 진로발달의 어느 단계에 도달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담자가 내담자의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상담전략을 세워야 한다. 또한 발달적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긴장을 이완시키고 느낌을 명료화하며 내담자의 통찰을 돕고 자신의 직업분야에서 유능감을 경험하도록 돕는다. 내담자의 약점보다는 강점을 강조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의 의미를 설정하도록 돕기도 한다. 내담자의 진로발달은 물론 일반적 발달 모두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내담자의 직업적응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전반적인 적응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럼 이제부터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의 6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문제 탐색 및 자아개념 묘사
이 단계에서는 비지시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탐색하고 자아개념을 묘사한다.
2. 심층적 탐색
심층적 탐색단계에서는 지시적 방법으로 심층적 탐색을 위한 주제를 설정한다.
3. 자아수용 및 자아통찰
비지시적 방법으로 느낌을 반영하고 명료화한다.
4. 현실검증
현실검증 단계에서는 심리검사, 직업정보, 과외활동 경험 등을 통해 수집된 사실적 자료들을 지시적으로 탐색한다.
5. 태도와 감정의 탐색과 처리
현실검증에서 얻어진 태도와 감정을 비지시적으로 탐색하고 처리한다.
6. 의사결정
대안적 행위들에 대한 비지시적 고찰을 통해 자신의 직업을 결정한다
※ 정리
이러한 기법들의 핵심은 직업상담자가 내담자의 내용설명에는 지시적으로 반응하고 감정표현에는 비지시적으로 반응해야 하며 재진술, 반영, 명료화, 요약, 해석, 직면 등을 내담자에 맞게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직업상담자는 내담자의 발달적 단계에 따라 적절한 상담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불안감소기법 (0) | 2024.07.04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의 유형과 상담의 목적 (0) | 2024.07.03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 유형 (0) | 2024.07.01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기법 (0) | 2024.06.28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과정 3단계 (1)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