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과정 3단계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특성-요인이론과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의 개념과 기법을 통합한 접근법이다. 정신역동적 접근은 내담자의 내적 세계뿐만 아니라 검사정보도 독특한 방식으로 직업결정과정에 활용한다.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의 대표적 학자인 보딘(Bordin)과 동료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보딘은 5가지 진단범주, 즉 의존성, 정보의 부족, 자아갈등, 직업선택의 불안, 확신의 결여를 제시하였는데 그럼 이제부터 보딘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과정 3단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제1단계 - 탐색과 계약체결
상담자는 직업 의사결정의 정신역동에 초점을 두며 내담자와 앞으로의 상담전략을 합의한다. 이때 상담자는 내담자의 방어적 태도에 주의를 기울이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 및 스스로의 정신역동적 상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수용적이고 온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며 관심과 관대함을 가지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또한 상담과정을 구조화하여 상담계약을 체결한다.
2. 제2단계 - 중대한 결정
내담자의 직업에 대한 결정은 물론 제한적이었던 자기 본래의 목표 및 성격 변화에 대해서도 결정하는 단계이다. 내담자는 중대한 결정을 통해 보다 제한된 자신의 목표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목표를 보다 폭넓게 확대할 것인지 고민하게 된다. 쉽게 말해 내담자가 자신의 성격에 맞게 직업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어떤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을 변화시키느냐를 결정한다. 한편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결정과 관련된 자아를 수용하도록 촉진한다.
3. 제3단계 - 변화를 위한 노력
내담자는 자아 인식 및 자아 이해를 점차 확대해 나가며 어느 정도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직업과 관련지어 흥미와 성격 등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을 이야기할 수 있다. 이때 내담자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를 재정의하는 과정이 병행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나타내는 '바로 지금(Right Now)'의 감정에 반응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자아를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담자와 내담자는 더 많은 변화를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하며 보다 효율적인 인간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3가지 평가 유형 (0) | 2024.07.01 |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기법 (0) | 2024.06.28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내담자중심 직업상담과 특성-요인 직업상담의 차이점 (0) | 2024.06.26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내담자중심상담에서 직업정보 활용의 원리(Patterson) (1) | 2024.06.20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윌리암슨의 특성-요인이론 검사 해석단계에서의 상담기법 3가지'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