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

summeru 2024. 6. 5. 15:13
반응형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 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 촉진방법


인간의 행동은 모든 학습에 의한 것이며 학습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학습이론에 바탕을 두고 체계적인 관찰, 철저한 통제, 자료의 계량화, 결과의 반복이라는 과학적 방법을 강조한다. 그럼 이제부터 행동주의 상담에서 내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행동주의 상담 내적/외적 행동 변화촉진방법

◎ 내적인 행동변화 촉진방법

1. 체계적 둔감화 또는 체계적 둔감화(Sustematic Desensiti-zation)

특정한 상황이나 상상에 의해 조건형성된 불안이나 공포에 대하 불안자극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며 노출시킴으로써 내담자의 불안 반응을 경감 또는 제거시킨다. 체계적 둔감화는 근육이완훈련, 불안위계목록 작성, 불안위계목록에 따른 둔감화 순으로 단계에 따라 진행된다.

2. 근육이완훈련

점진적 이완훈련을 통해 긴장을 풀어준다. 먼저 손과 팔의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머리, 어깨, 목, 가슴, 몸통, 다리 순으로 진행된다.

3. 내적 모델링 및 인지적 모델링(Internal Modeling & Cognitive Modeling)

내적 모델링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상상해야 할 것을 말해주어 내담자로 하여금 그 지시에 따라 행동을 수행하는 모델을 상상하도록 한다. 인지적 모델링은 상담자가 모델링 장면에서 먼저 시범을 보이면서 무엇을 하고 어떻게 느낄지에 대해 내담자에게 설명하며 내담자는 그것을 듣고 목표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4. 인지적 재구조화(Cognitive Restructuring)

내담자 자신의 인지를 확인 및 평가하고, 어떤 사고에 의해 일어나는 행동의 부정적 영향을 이해하며 이러한 인지를 좀 더 현실적이고 적절한 사고로 대체하는 것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즉, 내담자의 부정적인 자기 패배적 사고 대신 긍정적인 자기 적응적 사고를 가지도록 하는 기법이다.

5. 사고중지 및 사고정지(Thought Stopping)

내담자가 부정적인 인지를 억압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비생산적이고 자기 패배적인 사고와 심상을 통제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돌이킬 수 없는 과거사건에 대해 고심하는 내담자, 발생할 것 같지 않은 사건에 대해 생각에 빠져 있는 내담자, 자기 패배적인 심상에 빠져있는 내담자 등에게 적합하다.

6. 정서적 심상법 또는 정서적 상상(Emotive Imagery)

내담자에게 실제 장면이나 행동에 대한 정서적인 느낌이나 감정을 마음속으로 상상해 보도록 하는 기법이다. 내담자의 불안 및 공포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유발 상황에 대처하도록 긍정적이고 유쾌한 상상에 주의를 집중시킨다.

7. 스트레스 접종(Stress Inoculation)

예상되는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긴장을 약화시켜 내담자가 충분히 자신의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기법이다. 

◎ 외적인 행동변화 촉진방법

1. 상표제도 또는 상표제도(Token Economy)

바람직한 행동들에 대한 체계적인 목록을 정해놓은 후 그러한 행동이 이루어질 때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하는 기법이다.

2. 모델링(Modeling) 또는 대리학습(Vicarious Learning)

타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 및 모방에 의한 학습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문제행동을 수정하거나 학습을 촉진시키는 기법이다.

3. 주장훈련 또는 주장적 훈련(Vicarious Learning)

내담자의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기법으로서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 이외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여 불안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4. 역할연기(Role Playing)

일상생활 속에서 수행하지 못하거나 수행하기 곤란한 역할행동 때문에 부적응적인 행동을 하는 내담자로 하여금 현실적 장면이나 극적인 장면을 통해 역할행동을 반복적으로 시연시킴으로써 부적응적 행동을 적응적 행동으로 바꾸도록 하는 기법이다.

5. 행동계약(Behavioral Contract)

두 사람이나 그 이상의 사람들이 정해진 기간 내에 각자가 해야 할 행동을 분명하게 정해 놓은 후 그 내용을 서로가 지키기로 계약을 맺는 것이다.

6. 혐오치료(Aversion Therapy)

역조건형성의 일종으로서 바람직하는 못한 행동에 혐오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부적응적인 행동을 제거하는 기법이다.

7. 자기 관리 프로그램(Self-Managemnet Progam)

내담자가 자기 지식적인 삶을 영위하고 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담자가 내담자의 지식을 공유하면서 자기 강화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8.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이른바 '생체 자기 제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근육긴장도, 심박수, 혈압, 체온 등의 자율신경계의 의한 각종 생리적인 변수를 병적 증상의 완화나 건강 유지를 위해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