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과 상담 목표
행동주의 상담에서 인간의 행동은 모두 학습에 의한 것이며 학습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학습이론에 바탕을 두고 체계적인 관찰, 철저한 통제, 자료의 계량화, 결과의 반복이라는 과학적 방법을 강조한다. 어느 한 학자에 의해 체계화된 것이 아니라 이미 체계화된 학습이론을 상담에 응용하고 있다. 행동주의적 접근은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에서 출발하며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 의해 체계화된 이론이다. 그럼 이제부터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과 상담 목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
행동주의 상담에서는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학습된 것이므로 수정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특정한 환경의 변화는 개인의 행동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강화나 모방 등의 사회학습원리는 상담기술의 발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행동주의 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성은 상담장면 밖에서의 내담자의 구체적인 행동 변화에 의해 평가된다. 상담방법은 정적이거나 고정된 것 또는 사전에 결정된 것이 아니므로 내담자의 특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특한 방식으로 고안될 수 있다.
2. 행동주의 상담의 목표
행동주의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문제를 학습 과정을 통해 습득된 부적응 행동으로 보고 상담 과정을 통해 부적절한 행동을 밝혀서 제거하고 보다 적절한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도록 한다. 또한 내담자의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행동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조건을 찾아내어 이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3. 행동주의 요약과 평가
실험실에서 얻어진 학습원리를 이상행동의 치료에 적용한 행동수정은 가장 유명한 치료법 중의 하나이다. 현재 많은 치료자들이 부적응행동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유도하는 데 여러 가지 행동수정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정신분석학파에서는 행동수정이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피상적으로 증상만을 치료한다고 비판한다. 증상의 피상적 제거는 다른 대치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입증되지 않고 있다. 행동수정은 구체적인 부적응행동을 수정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대인관계나 사회적 적응 같은 광범위한 문제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인생의 의미를 알고자 하며 자기실현을 추구하는 내담자에게로 부적합하다. 이런 경우는 문제를 세분화하거나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도움을 줄 수밖에 없다. 행동수정에서는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가 기계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행동수정 상담자들도 신뢰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본주의적 행동수정자도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 (0) | 2024.06.05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체계적 둔감화의 의미와 단계 (0) | 2024.06.04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 상담의 생활자세와 장점 및 단점 (0) | 2024.05.27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 상담이론에서의 분석 유형 알아보기 (0) | 2024.05.24 |
[직업상담사 자격증]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적 상담의 3가지 자아 형태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