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둔감화의 의미와 단계
체계적 둔감화는 특정자극에 대한 반응 경향성이 점점 감소되는 현상을 뜻하는데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그 자극에 덜 민감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둔감화는 이전에 심하게 불안이나 공포를 경험한 상황에서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심리치료방법으로 불안이나 공포상황에 단계적으로 노출시켜 정서적 반응을 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럼 체계적 둔감화에 대한 자세한 의미와 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체계적 둔감화의 의미
체계적 둔감화 (Sustematic Desensiti-zation)란 체계적 둔감법이라고도 하며 특정한 상황이나 상상에 의해 조건형성된 불안이나 공포에 대한 불안자극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며 노출시킴으로써 내담자의 불안반응을 경감 또는 제거시킨다. 울페(Wolpe)가 개발한 불안감소법으로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에 기초하는데 불안과 공포증이 있는 내담자에게 그로 인한 부적응 행동이나 회피행동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 체계적 둔감화의 단계
1단계 : 근육이완훈련
점진적 이완훈련을 통해 몸의 긴장을 풀어준다. 먼저 손과 팔의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머리, 어깨, 목, 가슴, 몸통, 다리 순으로 진행된다.
2단계 : 불안위계목록표 작성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에 대한 불안위계표를 작성하게 하는데 불안의 정도가 가장 약하게 일으키는 것부터 가장 강하게 일으키는 것까지, 다시 말해 낮은 수준의 자극에서 높은 수준의 자극으로 순서대로 배열한다.
3단계 : 불안위계목록에 따른 둔감화
눈을 감고 가장 약한 불안부터 시작하여 가장 높은 불안으로 상상하게 하여 불안을 느끼면 신호하게 한다. 만약 신호가 있으면 상상을 중단시키고 다시 이완훈련을 한다. 불안이 완전히 소거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하고 더는 불안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 체계적 둔감화의 상담 심리치료효과
체계적 둔감화를 상담 심리치료과정에서 적용하면 내담자가 일정 기간 자신의 어려움을 논의하고 자신의 문제를 상담자와 공유해 나감에 따라 처음 느꼈던 문제의 심각성이나 어려움이 점차 줄어든다. 내담자가 심리치료 회기 중에 자신의 문제를 상담자에게 호소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문제를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자신의 문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상담자와 논의함으로써 문제로 인한 고통이 점차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심리치료에서 일어나며 상담심리치료에 긍정적은 영향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문제 -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REBT)의 기본원리와 상담목표 (0) | 2024.06.06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 (0) | 2024.06.05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과 상담 목표 (0) | 2024.05.29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 상담의 생활자세와 장점 및 단점 (0) | 2024.05.27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 상담이론에서의 분석 유형 알아보기 (0)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