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기본원리와 상담목표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은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것으로서 인지과정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념과 함께 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나온 개념들을 통합하여 적용한 것이다. 1955년 엘리스(Ellis)는 인본주의적 치료와 철학적 치료, 행동주의적 치료를 혼합하여 '인지적 치료(RT ; Rational Therapy)'를 고안하였으며, 1962년 '인지적·정서적 치료(RET ; Rational-Emotive Therapy)'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1993년 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인지·정서·행동치요(REBT ; Rational-Emotive Behavior Therapy)'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이는 앞선 치료 및 상담의 영역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그럼 지금부터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기본원리와 상담목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의 기본원리
1. 인지는 인간 정서의 가장 중요한 핵심적 요소이다.
2. 역기능적 사고는 정서적 장애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다.
3.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은 사고와 감정의 연관성을 기초로 사고의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4. 비합리적 사고와 정신병리를 유도하는 원인적 요인들은 유전적·환경적 영향을 포함하는 중다요소로 되어 있다.
5.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은 행동에 대한 과거의 영향보다 현재의 상태에 초점을 둔다.
6. 인간은 본래 비합리적으로 생각을 하지만 그러한 비합리적인 사고를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고 믿는다.
◎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의 목표
1. 상담자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기 파괴적이고 자기 패배적인 신념을 최소화하며 현실적이고 관대한 철학을 가지도록 돕는다.
2.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임으로써 문제에 직면하도록 돕는다.
3. 자기에 대한 관심, 사회에 대한 관심, 자기 지시, 관용, 유연성, 불확실성의 수용, 이행, 과학적 사고, 자기 수용, 모험 실행, 반유토피아주의 등의 구체적인 목표에 도달하도록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ABCDE 모형 (0) | 2024.06.11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비합리적 신념 유형과 3가지 당위성 (2) | 2024.06.10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 (0) | 2024.06.05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체계적 둔감화의 의미와 단계 (0) | 2024.06.04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과 상담 목표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