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비합리적 신념 유형과 3가지 당위성
인지정서행동적 상담은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것으로서 인지과정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념과 함께 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나온 개념들을 통합하여 적용한 것이다.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 접근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한편,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 이론에서 개인을 파멸로 몰아가는 근본적인 문제는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 때문이다. 그럼 이제부터 비합리적 신념 유형과 더불어 비합리적 신념의 뿌리를 이루고 있는 3가지 당위성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 비합리적 신념 유형
1. 우리는 주의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항상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2. 우리는 모든 면에서 반드시 유능하고 성취적이어야 한다.
3. 일이 내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 것은 끔찍한 파멸이다.
4. 인간의 불행은 외부 환경 때문이며 인간의 힘으로는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
5. 어떤 사람은 악하고, 나쁘며, 야비하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행위에 대하여 반드시 준엄한 저주와 처벌을 받아야 한다.
6. 위험하거나 두려운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언제든지 존재하므로 이것은 커다란 걱정의 원천이 된다.
7. 우리는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고, 자신이 의존할 만한 더 강한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
8. 우리의 현재 행동과 운명은 과거의 경험이나 사건에 의하여 결정되며 우리는 과거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9. 인생에 있어서 어떤 난관이나 책임을 직면하는 것보다 회피하는 것이 더 쉬운 일이다.
10. 주변 인물에게 환난이 닥쳤을 경우에 우리 자신도 당황할 수밖에 없다.
11. 모든 문제에는 가장 적절하고도 완벽한 해결책이 반드시 있기 마련이며 그것을 찾지 못한다면 그 결과는 파멸이다.
12. 세상은 반드시 공평해야 하며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13. 항상 고통 없이 편안해야 한다.
14. 나는 아마 미쳐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미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 비합리적 신념의 근간을 이루는 3가지 당위성
1. 자신에 대한 당위성
나는 반드시 훌륭하게 일을 수행해 내야 하며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인정받아야만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끔찍하고 참을 수 없는 일이며 나는 보잘것없는 하찮은 인간이 되고 말 것이다. 예) 나는 꼭 성공해야만 한다. 나는 실패해서는 안된다.
2. 타인에 대한 당위성
타인은 반드시 나를 공정하게 대우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끔찍하고 참을 수 없는 일이며 나 또한 그러한 상황을 참아낼 수 없다. 예) 부모니까 나를 사랑해야 한다. 자신이니까 내 말을 들어야 한다.
3. 세상에 대한 당위성(조건에 대한 당위성)
세상의 조건들은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끔찍하고 참을 수 없는 일이며 나 또한 그와 같은 끔찍한 세상에서 살아갈 수 없다. 예) 나의 방은 항상 깨끗해야 한다. 나는 쾌적한 환경에서 일해야만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인지치료의 인지적 오류 유형 (0) | 2024.06.12 |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ABCDE 모형 (0) | 2024.06.11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문제 - 인지 정서 행동적 상담(REBT)의 기본원리와 상담목표 (0) | 2024.06.06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행동주의 상담의 내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과 외적인 행동변화촉진방법 (0) | 2024.06.05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체계적 둔감화의 의미와 단계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