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인지치료의 인지적 오류 유형

summeru 2024. 6. 12. 15:17
반응형

인지치료의 인지적 오류 유형


벡(Beck)에 의한 인지행동 상담기술로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비롯되는 인지치료는 개인이 정보를 수용하여 처리하고 반응하기 위한 지적인 능력을 개발시키는 방법에 몰두한다. 특히 내담자의 역기능적이고 자동적인 사고 및 스키마, 신념, 가정의 대인관계행동에서의 영향력을 강조하며 이를 수정하여 내담자의 정서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역점을 둔다. 치료 과정은 보통 단기적이고 한시적이며 구조화되어 있다. 이때 상담자 혹은 치료자는 내담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교육적인 치료를 수행한다. 엘리스(Ellis)가 개인이 가진 비합리적 사고나 신념에 문제의 초점을 두었다면, 벡(Beck)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처리 과정상의 인지적 왜곡에 초점을 두었다. 그럼 이제부터 인지치료의 인지적 오류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인지치료의 인지적 오류 유형

1. 임의적 추론(Arbitrary Inference)

임의적 추론이란 어떤 결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없거나 그 증거가 결론에 위배됨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결론을 내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자친구가 사흘 동안 전화를 하지 않은 것은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이미 마음이 떠났기 때문이라고 자기 멋대로 추측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2. 선택적 추상화(Selective Abstraction)

선택적 추상화는 다른 중요한 요소들은 무시한 채 사소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그 부분적인 것에 근거하여 전체 경험을 이해한다. 특히 상황의 긍정적인 양상을 여과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세부사항에 머문다. 예를 들어 아내가 자신의 장단점을 이야기해 주었을 때 약점에 대해서만 집착한 나머지 아내의 진심을 왜곡하고 아내가 자신을 비웃고 헐뜯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3. 과잉일반화 또는 과도한 일반화(Overgeneralization)

과잉일반화는 한두 가지의 고립된 사건에 근거해서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그것을 서로 관계없는 상황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평소 자신을 배려하고 도와주던 남편이 어느 특정한 때에 배려하지 않으면 그것으로 그가 자신에게 무심하다는 결론을 내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4. 개인화 또는 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기(Personalization)

개인화는 자신과 관련시킬 근거가 없는 외부사건을 자신과 관련시키는 성향으로서 실제로는 다른 것 때문에 생긴 일에 대해 자신이 원인이고 자신이 책임져야 할 것으로 받아들인다. 친구가 오늘 기분이 나쁜 것이 나에게 화가 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5. 이분법적 사고 또는 흑백논리(Dichotomous Thinking)

이분법적 사고 또는 흑백논리는 모든 경험을 한두 개의 범주로만 이해하고 중간지대가 없이 흑백논리로써 현실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100점 아니면 0점과 다를 바 없다고 보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6. 과장 / 축소 또는 의미확대 / 의미축소(Magnification / Minimization)

이는 어떤 사건 또는 한 개인이나 경험이 가진 특성의 한 측면을 그것이 실제로 가진 중요성과 무관하게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한다. 예를 들어 시험을 잘 보았을 때 운이 좋아서 혹은 시험이 쉽게 출제되어서 좋은 결과에 이르렀다고 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