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 자격증]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적 상담의 3가지 자아 형태

summeru 2024. 5. 22. 22:36
반응형

교류분석적 상담의 3가지 자아 형태


교류분석은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미국의 에릭 번(Eric Berne) 박사에 의해 개발된 임상심리 분석시스템으로서 한 마디로 인간관계 교류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인간관계가 존재하는 모든 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다. 인간의 자아상태를 부모자아, 성인자아, 어린이자아와 같은 3가지 자아상태로 나누어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교류하는가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해결을 돕고자 하는 것으로 개인 간 그리고 개인 내부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그럼 이제부터 교류분석적 상담에서 주장하는 자아의 3가지 형태인 부모자아, 성인자아, 어린이자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적 상담의 3가지 자아형태

1. 부모자아(Parent Ego)

부모자아는 프로이트의 초자아와 유사한 개념으로 어릴 때 부모로부터 받은 영향을 그대로 재현시키는 상태로서 부모의 행동이나 태도의 영향을 받아 내면화된 것으로 개인의 가치세계, 도덕을 나타낸다. 부모자아는 비판적 부모자아(CP; Critical Parent)와 양육적 부모자아(NP; Nurturing Parent)로 구분한다. 비판적 부모자아는 아버지의 기능으로 주장적, 처벌적, 남을 가르치고 통제하고 비판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고 양육적 자아는 어머니의 기능으로 타인을 배려하고 격려하며 애정, 보호, 헌신, 위로 등의 기능을 한다.

 

2. 성인자아 또는 어른자아(Adult Ego)

성인자아 또는 어른자아는 프로이트의 자아와 유사한 개념으로 인간은 여러 가지를 경험하는 가운데서 현실을 합리적으로 냉정하게 판단하여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익혀 나간다. 이 자아는 성인으로서의 능력을 사용하여 '여기-지금'에서의 반응으로 사고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감정상태를 말한다. 객관적으로 현실을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3. 어린이자아(Child Ego)

어린이자아는 프로이트의 원초아와 유사한 개념으로 어린아이처럼 행동하거나 어린아이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상태로 어린 시절의 흔적이 저장된 곳이다.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Free Child)와 순응적 어린이자아(AC; Adapted chid), 어린이 교수자아(LP; Little Professor)로 구분된다. 먼저 자유로운 어린이자아는 천진난만하고 자유로운 감정표현 등으로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어린 시절처럼 자유롭게 행동하고 표현하는 기능을 하고, 순응적 어린이자아는 인내, 타협, 신중, 착한 아이 등의 역할을 하고 외부의 규칙이나 사회적 요구에 순응하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교수자아는 성인자아의 축소판으로 탐구적이고 창조적인 기능을 지닌 선천적 지혜라 할 수 있다. 

 

√ 교류분석적 상담의 성격구조 

교류분석에서는 이와 같이 인간의 자아상태를 각각 부모자아, 성인자아, 어린이자아로 구분하고 이 세 가지 자아상태는 각기 고유한 사고나 행동, 감정 등을 나타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