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Gestalt) 상담기법
게슈탈트(Gestalt)란 전체, 형상, 형태, 모습 등의 뜻을 지닌 독일어로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개체는 대상을 지각할 때 그것들을 산만한 부분들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 즉 '게슈탈트'로 만들어 지각한다고 말한다. 게슈탈트는 개체에 의해 지각된 유기체 욕구나 감정, 다시 말해 개체가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을 뜻한다. 그럼 지금부터 게슈탈트 상담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욕구와 감정의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각이나 주장의 배후에 내재된 '여기-지금'에 체험되는 욕구와 감정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2. 신체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현재 상황에서 느끼는 신체 감각을 자각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깨닫도록 도와야 한다.
3. 환경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스스로의 욕구와 감정을 명확히 하도록 환경과의 접촉을 증진하며 주위 환경에서 체험하는 것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4. 언어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의 말에서 행동의 책임소재가 불명확한 경우 자신의 감정과 동기에 책임을 지는 문장으로 말하도록 해야 한다.
5. 과장하기
상담자는 내담자가 감정을 체험하지만 그 정도와 깊이가 약한 경우 행동이나 언어를 과장하게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알아차리게 도와준다.
6. 반대로 하기(반전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평소 행동과 반대되는 행동을 해보도록 요구함으로써 내담자가 억압하고 통제해 온 부분을 표출하도록 해야 한다.
7. 머물러 있기(감정에 머무르기)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미해결 감정들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여 견뎌내도록 함으로써 이를 해소하도록 도와야 한다.
8. 빈 의자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 치료 장면에 없는 사람과 상호작용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인물이 맞은편 빈 의자에 앉아 있다고 상상하도록 한 채 대화를 유도한다. 이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투사된 자기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9. 자기 부분들 간의 대화
상담자는 내담자의 인격에서 분열된 부분 또는 갈등을 느끼는 부분들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10. 꿈을 통한 통합(꿈 작업)
상담자는 내담자의 꿈을 통해 나타나는 소외된 부분 또는 갈등된 부분을 현실로 재현하도록 하며 이를 성격으로 통합하도록 도와야 한다.
11. 대화실험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특정 장면을 연출하거나 공상 대화를 하도록 제안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내적인 분할을 인식하도록 도와야 한다.
12. 뜨거운 자리
뜨거운 자리는 집단상담 장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법으로 상담자는 집단의 한 구성원과 마주 앉아 힘들게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미해결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3. 차례로 돌아가기
뜨거운 자리에 있는 구성원에게 다른 구성원들이 차례로 돌아가며 해주고 싶은 말을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 상담이론에서의 분석 유형 알아보기 (0) | 2024.05.24 |
---|---|
[직업상담사 자격증]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교류분석적 상담의 3가지 자아 형태 (0) | 2024.05.22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형태주의의 주요 개념과 상담 목표 (0) | 2024.05.20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내담자중심상담에서 직업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3가지 기본 태도 (0) | 2024.05.16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실존주의 상담에서 제시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기본가정과 상담자의 치료원리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