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육체활동의 구분
육체활동은 해당 직업의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균형감각, 웅크림, 손, 언어력, 청각, 시각 등이 요구되는 직업인지를 보여준다. 다만 육체활동은 조사대상 사업체 및 종사자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체 직업종사자의 육체활동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그럼 이제부터 육체활동의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균형감각
균형감각은 손, 발, 다리 등을 사용하여 사다리, 계단, 발판, 경사로, 기둥, 밧줄 등을 올라가거나 몸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좁거나 경사지 거나 또는 움직이는 물체 위를 걷거나 뛸 때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작업이다.
웅크림
웅크림은 허리를 굽히거나 몸을 앞으로 굽히고 뒤로 젖히는 동작과 다리를 구부려 무릎을 꿇는 동작, 다리와 허리를 구부려 몸을 아래나 위로 굽히는 동작, 손과 무릎 또는 손과 발로 이동하는 동작 등이 필요한 직업이다. 웅크림을 사용하는 직업으로는 단조원, 연마원, 오토바이수리원, 항공기엔진정비원, 전기도금원 등이 있다.
손사용
일정기간의 손사용 숙련기간을 거쳐 직무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지속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직업으로 통상적인 손사용이 아닌 정밀함과 숙련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 한정한다. 예시 직업으로는 해부학자 등 의학 관련직업, 의료기술종사자, 기악연주자, 조각가, 디자이너, 미용사, 조리사, 운전 관련 직업, 설계 관련 직업 등이 있다.
언어력
말로 생각이나 의사를 교환하거나 표현하는 직업으로 개인이 다수에게 정보 및 오락제공을 목적으로 말을 하는 직업이다. 예로는 교육관련 직업, 변호사, 판사, 통역가, 성우, 아나운서 등이 있다.
청각
단순히 일상적인 대화내용 청취여부가 아니라 작동하는 기계의 소리를 듣고 이상 유무를 판단하거나 논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청취활동이 필요한 직업이다. 청각을 사용하는 직업으로는 피아노조율사, 음향 관련 직업, 녹음 관련 직업, 전자오르간검사원, 자동차엔진정비원, 광산기계수리원 등이 있다.
시각
일상적인 눈사용이 아닌 시각적 인식을 통해 반복적인 판단을 하거나 물체의 길이, 넓이, 두께를 알아내고 물체의 재질과 형태를 알아내기 위한 거리와 공간 관계를 판단하는 직업이다. 또한 색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 직업이다. 측량기술자, 제도사, 항공기조종사, 사진작가, 의사, 심판, 보석감정인, 위폐감정사 등 감정 관련 직업이나 현미경, 망원경 등 정밀광학기계를 이용하는 직업 또는 촬영 및 편집 관련 직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정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 상 직능, 직능 수준, 직능 유형" (0) | 2024.02.08 |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직업으로 간주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 (0) | 2024.02.07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에 수록된 부가직업정보" (1) | 2024.02.05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 (3) | 2024.02.05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_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사례별 산업분류 적용원칙 및 산업결정방법 (0)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