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
직업정보는 국내외의 각종 직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체계화시킨 것으로 국가, 기업, 개인(사회)이 직업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자료이자 직업별 직무내용, 직업전망, 직업별 근로조건 등에 관한 모든 종류의 직업 관련 정보를 말한다. 그럼 이제 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민간직업정보의 특징
민간직업정보은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되어 운영되며 노동시장환경, 취업상황, 기업의 채용환경 등을 반영한 직업정보가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조사되어 집중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특정한 목적에 맞게 해당 분야 및 직종이 제한적으로 선택되고 정보생산자의 임의적 기준 또는 시사적인 관심이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당 직업을 분류한다. 민간직업정보는 정보 자체의 효과가 큰 반면 부가적인 파급효과는 적다. 그리고 객관적이고 공통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직업정보와의 비교가 적고 활용성이 낮다. 민간이 특정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사와 분석 및 정리와 제공에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므로 민간직업정보는 유료로 제공된다.
민간직업안정기관
민간직업안정기관으로는 비영리법인과 공익단체인 경총, 재향군인회, YMCA, 중소기업협동조합, 대한노인회,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주부클럽 연합회 등이 있으며 유료직업소개소에는 헤드헌터, 근로자파견업체, 도급업체, 직업임대업체 등이 있다.
공공직업정보의 특징
공공직업정보는 정부 및 공공단체와 같은 비영리기관에서 공익적 목적으로 생산 및 제공되며 특정한 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공되며 장기적인 계획 및 목표에 따라 정보체계의 개선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분야 및 대상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산업 및 업종에 걸친 직종을 대상으로 한다.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로 생산되고 운영되므로 무료로 제공되는 특징이 있으며 국내 또는 구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 예를 들어 국제표준직업분류 및 한국표준직업분류 등에 근거한 직업분류라고 할 수 있다. 직업별로 특정한 정보만을 강조하지 않고 보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초적인 직업정보 체계로 구성되는 공공직업정보는 관련 직업정보 간의 비교와 활용이 용이하고 공식적인 노동시장통계 등 관련 정보와 결합하여 제반 정책 및 취업알선과 같은 공공목적에 사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광범위한 이용가능성에 따라 공공직업정보체계에 따라 공공직업정보체계에 대한 직접적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공공직업정보기관
공공직업정보기관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시·군·구 고용센터 등이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정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육체활동의 구분" (0) | 2024.02.06 |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에 수록된 부가직업정보" (1) | 2024.02.05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_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사례별 산업분류 적용원칙 및 산업결정방법 (0) | 2024.01.04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_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다수직업 종사자의 직업분류원칙과 직업으로 인정되지 않는 활동 (0) | 2023.04.25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_ 한국표준직업분류의 포괄적인 업무에 대한 직업분류 원칙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