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준거타당도(Criterion Validity)는 기준타당도 또는 준거 관련타당도라고도 하며 경험적 근거에 의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통계적으로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에 관심을 둔다. 그럼 이제부터 준거타당도가 낮은 검사를 사용하면 왜 문제가 되는지, 여러 가지 타당도 중에서도 특히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직업 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1.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설득력 제공
준거타당도는 검사 도구가 미래의 행위를 예언하므로 선발이나 배치, 훈련 등의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설득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타당도가 검증된 적성검사를 예비 비행사들에게 실시하는 경우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예비 비행사가 실제 비행에서도 안전운행기록상 높은 점수를 나타내 보일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2. 명확한 준거를 토대로 객관적인 증거 제시
준거타당도는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기초하는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와 달리 경험적인 근거를 토대로 타당도를 확인한다. 즉, 어느 정도 명확한 준거를 토대로 타당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내담자의 직업선택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 준거타당도가 낮은 검사 사용 시 문제
준거타당도가 낮은 검사를 직업상담에 사용하는 경우 내담자의 직업선택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산업장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사관리의 효과성을 저해할 수 있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직업상담에서 검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0) | 2024.04.06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심리검사에서 준거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4.04.04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구성타당도 분석방법 및 중다특성-중다방법 행렬표(MTMM) 확인 절차" (0) | 2024.04.01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준거타당도의 종류 - 예언타당도 / 동시타당도" (0) | 2024.03.29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측정 오차 줄이기 위한 방법"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