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심리학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반분 신뢰도 추정방법 "

summeru 2024. 3. 26. 10:55
반응형

반분 신뢰도 추정방법


신뢰도는 믿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검사의 신뢰도란 동일한 사람에게 검사를 실시했을 때 점수가 얼마나 일관성 있게 나오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감사 점수의 전체변량 중에서 오차변량을 제외한 실제변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중에서 반분신뢰도(Split-half-Reliability) 또는 반분법은 전체 문항수를 반으로 나눈 다음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두 부분이 모두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지 일치성 또는 동질성 정도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어떤 심리검사의 내적합치도 계수가 매우 낮다는 것은 검사가 성질상 매우 다른 속성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그럼 이제부터 반분 신뢰도의 특징과 함께 추정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문제 -반분 신뢰도의 추정 방법

◎ 반분 신뢰도의 특징

반분 신뢰도는 전체 문항수를 반으로 나눌 때 양분된 각 측정도구의 항목 수가 적어도 그 자체가 각각 완전한 척도를 이룰 수 있도록 충분히 많아야 한다. 반분된 항목 수는 적어도 8개 ~10개 정도가 되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16개 ~ 20개 정도의 항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 한 번의 시행으로 신뢰도를 구할 수 있으나 반분하는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신뢰도를 측정하므로 단일의 측정치를 산출하지 못한다.

◎반분 신뢰도의 추정 방법

1. 전후 반분법

전후 반분법은 전체 검사를 문항 순서에 따라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는 방법이다. 비교적 문항 수가 적거나 문항의 곤란도가 골고루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다만, 이 방법은 지능검사와 같은 속도 검사의 경우 또는 검사가 문항의 난이도 순위에 따라 구성된 경우 적합하지 못하다.

 

2. 기우 반분법

기우 반분법은 문항의 번호에 따라 홀수와 짝수로 나누는 방법이다. 검사 문항 수가 비교적 많고 곤란도에 따라 문항이 배열되어 있는 검사에 적합한 방법이다. 다만, 이 방법은 다른 신뢰도 추정 방법에 비해 신뢰도 계수가 불합리하게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3. 짝진 임의배치법

짝진 임의배치법은 전체 검사를 문항의 난이도와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를 토대로 나누는 방법이다.  난이도가 비슷한 두 문항끼리 짝을 지은 후 임의로 하나씩 선택하여 나누는 방법이다. 산출된 통계치는 좌표상의 산포도로 작성되며, 거리상 가까이 위치한 두 문항끼리 짝을 지은 후 그중 한 문항을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검사를 양분한다.

 

4. 난수표법

난 수표법은 전체검사를 난수표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통계조사방법의 하나로 사용되는 임의추출법에 해당하며 문항 수를 무작위로 하여 반으로 나누어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