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재검사 신뢰도 추정 시 충족되어야 할 요건과 단점
검사-재검사의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가장 기초적인 신뢰도 추정방법으로서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수검자 집단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점수의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한다. 안정성을 강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용이 매우 간편하나 대부분의 심리검사에서 신뢰도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럼 이제부터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추정할 때 충족되어야 할 요건과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의 형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검사- 재검사 신뢰도 추정 시 충족되어야 할 요건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두 검사의 실시 간격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검사 간격이 짧은 경우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다. 그 반면에 검사 간격이 긴 경우에는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검사-재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추정할 때 충족되어야 할 요건으로 첫째 어떤 학습활동이 두 번째 검사의 점수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되며 둘째 측정내용 자체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첫 번째 검사경험이 두 번째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의 형태
1. 이월 효과(기억 효과)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짧을 경우 첫 번째 검사에서 답한 것을 기억해서 두 번째 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2. 측정 대상 속성의 변화 (시간의 경과/성숙요인)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클 경우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3. 응답자 속성의 변화
일부 비 협조적인 피검사자들은 두 번째 검사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을 거부할 수 도 있다.
4. 개인적 요인의 변화
두 검사 시기에 피검사자들의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상태가 모두 같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5. 환경적 요인의 변화
두 검사 시기에 물리적 환경 즉 온도나 습도, 날씨 등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6. 반응민감성
검사를 치르는 경험이 후속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심리 검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4.03.27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반분 신뢰도 추정방법 " (0) | 2024.03.2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심리검사의 분류 - 속도검사 vs 역량 검사 / 규준참조검사 vs 준거참조검사" (0) | 2024.03.21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3가지 영역모델(영역모형)" (1) | 2024.03.20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반두라의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중 진로발달의 결정요인"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