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검사의 신뢰도(신뢰도 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도는 믿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검사의 신뢰도란 동일한 사람에게 검사를 실시했을 때 점수가 얼마나 일관성 있게 나오는지를 측정한 것으로 신뢰도 계수는 -1.00 ~ +1.00의 범위 내에서 제시된다. 그럼 이러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문항수
문항 수가 많은 경우 신뢰도는 어느 정도 높아진다. 다만, 문항 수를 무작정 늘린다고 해서 검사의 신뢰도가 정비례하여 커지는 것은 아니다.
◎ 문항에 대한 반응 수
문항에 대한 반응 수 즉, 선택문항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문항에 대한 반응 수는 적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를 초과하는 경우 신뢰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리커트(Likert) 척도에서 문항 반응 수가 5점 내지 7점을 초과하는 경우 신뢰도계수는 더 이상 커지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개인차
검사대상이 되는 집단의 개인차가 클수록 검사점수의 변량은 커지며 그에 따라 신뢰도계수도 커지게 된다.
◎ 집단의 동질성
동질집단이 신뢰도가 높다.
◎ 검사 속도와 시간
시간이 충분할수록 속도가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
◎ 검사 유형(속도검사의 신뢰도)
검사유형에 따라 신뢰도의 크기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검사유형에는 속도검사와 역량검사가 있다. 문항 수가 많고 주어진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속도검사의 경우 특히 전후반분법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응답자가 후반부로 갈수록 문항에 답할 충분한 시간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 신뢰도 추정방법(검증법)
신뢰도를 추정하는 각 방법은 오차를 포함하는 내용이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검사에 여러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얻어진 신뢰도계수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특히 측정오차가 클수록 신뢰도계수는 그만큼 작게 계산될 가능성이 높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준거타당도의 종류 - 예언타당도 / 동시타당도" (0) | 2024.03.29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측정 오차 줄이기 위한 방법" (0) | 2024.03.28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반분 신뢰도 추정방법 " (0) | 2024.03.2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검사-재검사 신뢰도 추정 요건과 단점" (0) | 2024.03.25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심리검사의 분류 - 속도검사 vs 역량 검사 / 규준참조검사 vs 준거참조검사" (0)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