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즈버그(Ginzberg)의 직업발달단계 ; 환상기-잠정기-현실기
긴즈버그(Ginzberg)는 처음으로 발달적 관점에서 직업선택이론을 제시하여 직업선택을 하나의 발달과정으로 보았다. 인간의 신체와 정신이 발달하는 것처럼 직업에 대한 지식, 태도, 기능도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일련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하는 것이다. 즉, 개인은 자신의 욕구, 능력, 가치관, 흥미 등의 내적요인과 가정환경, 부모의 영향, 직업 조건 등의 외적요인 간의 타협으로 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긴즈버그 직업발달이론에 따르면 직업선택은 환상기-잠정기-현실기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그럼 이제부터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환상기 (Fantasy Period, 6~11세 또는 11세 이전)
아동은 자기가 원하는 직업이면 무엇이든 하고 싶고 하면 된다는 식의 환상 속에서 비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즉, 이 단계는 직업선택의 문제에서 자신의 능력이나 가능성, 현실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욕구만을 중시한다.
◎ 잠정기 (Tentative Period, 11~17세)
잠정기 기간에는 개인은 자신의 흥미, 능력, 취미에 따라 직업선택을 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후반기에 가면 능력과 가치관 등의 요인도 조금 고려하지만 현실 상황을 별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직업선택의 문제에서 다분히 비현실적인 성격을 띠므로 이 시기의 특성은 잠정적이라 볼 수 있으며 다음의 4가지 하위단계로 구분된다.
1. 흥미단계 (Interest Stage)
흥미단계에서는 자신의 흥미나 취미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려고 한다.
2. 능력단계 (Capacity Stage)
능력단계에서는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시험해 보기 시작한다. 또한 다양한 직업이 있고 직업에 따라 보수나 훈련조건, 작업조건 등이 다르다는 것을 처음으로 의식하게 된다.
3. 가치단계 (Value Stage)
가치단계는 직업선택 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인식한다. 따라서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알아보려고 하며 그 직업이 자신의 가치관 및 생애 목표에 부합되는지 평가해 본다.
4. 전환단계 (Transition Stage)
전환단계에서는 주관적 요소에서 현실적인 외부요인으로 관심이 전환되며 현실적인 외부 요인이 직업선택의 주요인이 된다.
◎ 현실기(Realistic Period, 17세 이후 ~ 성인 초기 또는 청·장년기)
직업에서 요구하는 조건과 자신의 개인적 요구와 능력을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고자 하는 단계로 능력과 흥미의 통합단계이다. 이 시기는 탐색단계, 구체화단계, 특수화(정교화) 단계로 구분된다.
1. 탐색단계 (Exploration Stage)
탐색단계는 자신의 진로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이나 경험을 쌓으려고 노력하는 단계로서 취업기회를 탐색하고 취업하려고 노력한다.
2. 구체화 단계 (Crystallization Stage)
구체화 단계에서는 자신의 직업목표를 구체화하고 직업선택의 문제에서 내적요인과 외적 요인들을 두루 고려하여 특정직업 분야에 몰두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타협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특수화(정교화) 단계 (Specialization Stage)
특수화 단계에서는 자신의 결정을 구체화시키고 보다 세밀한 계획을 세우며 고도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경력개발 5단계 개발방법" (0) | 2024.03.13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0) | 2024.03.12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로(Roe)의 욕구이론에 영향을 미친 성격이론(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과 직업분류체계" (0) | 2024.03.09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데이비스와 롭퀴스트의 직업적응이론 검사 도구" (1) | 2024.03.07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데이비스와 롭퀴스트의 직업적응이론 - 성격유형 요소와 직업적응방식의 유형"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