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심리학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summeru 2024. 3. 12. 15:40
반응형

수퍼(Super)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수퍼(Super)의 발달이론은 긴즈버그의 진로발달이론을 비판하고 보완하면서 발전된 이론이다. 개인의 발달단계를 성장기→ 탐색기 → 확립기 → 유지기 → 쇠퇴기의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발달단계별 특징 및 과제(과업)를 강조하였다. 그럼 이제부터 진로성숙은 생애단계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된 발달과제를 통해 획득된다는 수퍼의 진로발달이론의 경력개발단계 5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문제 수퍼의 경력개발 5단계

성장기

성장기는 출생에서 14세까지의 시기로 가정과 학교에서 중요한 인물과 동일시함으로써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초기에는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지만 현실검증이 생김에 따라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게 된다.

성장기의 하위단계는 환상기 →흥미기 →능력기로 나눠진다.

1. 환상기

환상기는 4세~10세까지의 시기로 욕구가 지배적이며 환상적인 역할수행이 중시된다.

2. 흥미기

흥미 기는 11세~12세까지의 시기로 활동의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흥미 즉, 개인의 취향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능력기

능력 기는 13세~14세까지의 시기로 능력을 중시하면서 진로를 선택하려 하며 직업훈련에 있어서의 요구조건 또한 고려한다.

 

 탐색기

탐색기는 15세~24세까지의 시기이다. 학교생활, 여가활동, 시간제 일과 같은 활동을 통해 자아를 검증하고 역할을 수행하여 직업탐색을 시도하는 시기이다. 탐색기의 하위 단계는 잠정기 →전환기 →시행기로 나뉜다.

1. 잠정기

잠정기는 15세~17세의 시기로 자신의 욕구, 흥미, 능력, 가치와 취업기회 등을 고려하면서 환상이나 토론, 일의 경험 등을 통해 잠정적으로 진로를 선택해 본다.

2. 전환기

전환기는 18세~21세까지의 시기로 장래 직업세계로 들어갈 때 필요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고 직업선택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요인을 중시한다. 그러면서 자아개념이 직업적 자아개념으로 전환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3. 시행기

시행 기는 22세~24세의 시기로 자기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선택하여 종사하기 시작하며 그 직업이 자신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시험해 보게 된다.

 

 확립기

확립기는 25세~44세까지의 시기로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해 종사하면서 안정적인 생활의 터전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확립기는 시행기와 안정기로 구분된다.

1. 시행기

시행기는 25세~30세까지의 시기로 자신이 선택한 일의 분야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 적합한 일을 발견할 때까지 몇 차례 변화를 시도하면서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2. 안정기

안정기는 31세 ~44세까지의 시기로 진로유형이 분명해져서 안정되는 시기로서 직업세계에서 안정과 만족감, 소속감, 지위 등을 굳히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유지기

유지기는 45세~64세까지의 시기로 정해진 직업에 정착하고 자신의 위치가 확고해지며 안정된 환경 속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간다.

 

 쇠퇴기

쇠퇴기는 65세 이후의 시기이다. 정신적·육체적으로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직업전선에서 은퇴하게 되므로 다른 새로운 역할과 활동을 찾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