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퍼(Super)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수퍼(Super)의 발달이론은 긴즈버그의 진로발달이론을 비판하고 보완하면서 발전된 이론이다. 개인의 발달단계를 성장기→ 탐색기 → 확립기 → 유지기 → 쇠퇴기의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발달단계별 특징 및 과제(과업)를 강조하였다. 그럼 이제부터 진로성숙은 생애단계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된 발달과제를 통해 획득된다는 수퍼의 진로발달이론의 경력개발단계 5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성장기
성장기는 출생에서 14세까지의 시기로 가정과 학교에서 중요한 인물과 동일시함으로써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초기에는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지만 현실검증이 생김에 따라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게 된다.
성장기의 하위단계는 환상기 →흥미기 →능력기로 나눠진다.
1. 환상기
환상기는 4세~10세까지의 시기로 욕구가 지배적이며 환상적인 역할수행이 중시된다.
2. 흥미기
흥미 기는 11세~12세까지의 시기로 활동의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흥미 즉, 개인의 취향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능력기
능력 기는 13세~14세까지의 시기로 능력을 중시하면서 진로를 선택하려 하며 직업훈련에 있어서의 요구조건 또한 고려한다.
◎ 탐색기
탐색기는 15세~24세까지의 시기이다. 학교생활, 여가활동, 시간제 일과 같은 활동을 통해 자아를 검증하고 역할을 수행하여 직업탐색을 시도하는 시기이다. 탐색기의 하위 단계는 잠정기 →전환기 →시행기로 나뉜다.
1. 잠정기
잠정기는 15세~17세의 시기로 자신의 욕구, 흥미, 능력, 가치와 취업기회 등을 고려하면서 환상이나 토론, 일의 경험 등을 통해 잠정적으로 진로를 선택해 본다.
2. 전환기
전환기는 18세~21세까지의 시기로 장래 직업세계로 들어갈 때 필요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고 직업선택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요인을 중시한다. 그러면서 자아개념이 직업적 자아개념으로 전환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3. 시행기
시행 기는 22세~24세의 시기로 자기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선택하여 종사하기 시작하며 그 직업이 자신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시험해 보게 된다.
◎ 확립기
확립기는 25세~44세까지의 시기로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해 종사하면서 안정적인 생활의 터전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확립기는 시행기와 안정기로 구분된다.
1. 시행기
시행기는 25세~30세까지의 시기로 자신이 선택한 일의 분야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 적합한 일을 발견할 때까지 몇 차례 변화를 시도하면서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2. 안정기
안정기는 31세 ~44세까지의 시기로 진로유형이 분명해져서 안정되는 시기로서 직업세계에서 안정과 만족감, 소속감, 지위 등을 굳히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 유지기
유지기는 45세~64세까지의 시기로 정해진 직업에 정착하고 자신의 위치가 확고해지며 안정된 환경 속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간다.
◎ 쇠퇴기
쇠퇴기는 65세 이후의 시기이다. 정신적·육체적으로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직업전선에서 은퇴하게 되므로 다른 새로운 역할과 활동을 찾게 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고트프레드슨 개인발달(직업포부)의 발달 단계" (0) | 2024.03.14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경력개발 5단계 개발방법" (0) | 2024.03.13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긴즈버그의 직업발달단계 (환상기-잠정기-현실기) (1) | 2024.03.11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로(Roe)의 욕구이론에 영향을 미친 성격이론(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과 직업분류체계" (0) | 2024.03.09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데이비스와 롭퀴스트의 직업적응이론 검사 도구" (1)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