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의 산업, 산업 활동, 산업활동의 범위, 산업 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란 국내경제활동의 구조분석에 필요한 통계자료의 생산과 그 생산된 자료 간의 국내·외 비교분석 목적에 모든 기관이 통일적으로 사용하도록 국내의 산업구조 및 실태하에서 각 생산단위가 수행하고 있는 모든 산업활동을 일정한 분류기준과 원칙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로 유형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의 산업 및 산업 활동의 정의, 산업활동의 범위와 산업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산업의 정의
산업이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산업 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집합을 의미한다.
산업활동의 정의
산업활동은 각 생산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을 의미한다.
산업활동의 범위
산업활동의 범위에는 영리적·비영리적 활동이 모두 포함되나 가정 내의 가사활동은 미포함된다.
산업분류의 개념 및 목적
산업분류는 생산단위(사업체 단위, 기업체 단위 등)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이다.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주요 목적은 산업활동에 관련된 각종 통계자료를 산업활동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는 일련의 산업활동유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표준산업분류에 의하여 산업 관련 통계를 작성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경제 및 산업구조, 산업 간의 유기적 구성 및 상관성 등을 파악하고 분석함은 물론이고 작성된 국내·외 통계자료 간의 비교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세법에서는 사업의 범위 및 업종의 분류에 대해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산업분류 기준
1. 산출물(생산된 재화 또는 제공된 서비스)의 특성
(1) 산출물의 물리적 구성 및 가공단계
(2) 산출물의 수요처
(3) 산출물의 기능 및 용도
2. 투입물의 특성
원재료, 생산 공정, 생산 기능 및 시설 등
3. 생산 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정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목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0) | 2024.02.19 |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 생산단위의 활동형태와 별개의 활동으로 간주하여야 하는 활동형태" (1) | 2024.02.16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 상 직능, 직능 수준, 직능 유형" (0) | 2024.02.08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직업으로 간주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 (0) | 2024.02.07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육체활동의 구분"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