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정보론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목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summeru 2024. 2. 19. 22:33
반응형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근로자로 하여금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습득하고 향상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이다. 여기서 근로자라 함은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가 있는 자를 말한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은 15세 이상인 자에게 실시하되 15세 이상으로서 훈련대상자의 연령 범위를 따로 정하거나 필요한 학력, 경력 또는 자격을 정할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목적(내용과 대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직업상담사 2급 직업정보론 실기 기출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 훈련의 목적에 따른 구분

1. 양성훈련

양성훈련은 근로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의미한다.

2. 향상훈련

향상훈련은 양성훈련을 받은 사람이나 직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더 높은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거나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식·기능을 보충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말한다.

3. 전직훈련

전직훈련은 근로자에게 종전의 직업과 유사하거나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의미한다.

▣ 훈련의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1. 집체훈련

집체훈련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훈련전용시설이나 그 밖에 훈련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설(산업체의 생산시설 및 근무장소는 제외)에서 실시하는 방법이다.

2. 현장훈련

현장훈련은 산업체의 생산시설 또는 근무장소에서 실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3. 원격훈련

원격훈련은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 정보통신매체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4. 혼합훈련

혼합훈련은 앞서 알아본 집체훈련, 현장훈련, 원격훈련 중 2가지 이상의 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방법을 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