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용정보의 유형 - 미시정보 / 거시정보
고용정보는 미시정보와 거시정보로 나눌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고용정보를 미시정보와 거시정보로 나누고 그 특징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미시정보의 특징
미시정보는 정보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므로 보통 개별사업에 국한된다. 이에 구인업체, 구직자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또한 특정 목적에 맞게 해당 분야의 직종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이고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미시정보는 직업안정을 목적으로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하며 정보로서의 기한이 짧으며 그 범위가 포괄적이지 못하다.
▣미시정보의 종류
고용정보에는 구인 및 구직정보, 자격정보, 훈련정보, 임금정보, 취업박람회 등이 있다.
▣거시정보의 특징
거시정보는 정책 및 법률의 입안으로 연결되는 정보로서 보통 포괄적인 산업으로 확장된다. 현재의 노동시장 흐름을 보여주는 자료인 동향정보와 함께 과거자료를 토대로 예측자료를 제시하는 시계열 자료 및 전망자료 등이 포함되며 고용과 직업에 대한 통계적이고 정책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고용안정을 목적으로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또한 거시정보는 정보로서의 기한이 길며 그 범위가 포괄적이다.
▣거시정보의 종류
거시정보에는 노동시장동향, 직종별·업종별 인력수급현황, 직종별·지역별 실업률, 미래의 직업별 고용전망자료 등이 있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정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정보론 실기 기출문제] 브레이필드(Brayfield)가 제시한 직업정보의 기능 3가지 (1) | 2024.10.25 |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장·단점" (0) | 2024.02.20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목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0) | 2024.02.19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 생산단위의 활동형태와 별개의 활동으로 간주하여야 하는 활동형태" (1) | 2024.02.16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산업, 산업 활동, 산업활동의 범위, 산업 분류"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