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장 · 단점
고용정보는 구인신청서, 구직신청서, 각종 통계조사·업무통계, 조사연구자료 및 보고서, 신문·잡지·관계기관지 등의 기사 및 은행·민간신용기관이 공표하는 정보지 등 기존 정보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방법과 관내 사업체 및 사업주단체 등의 방문, 직업안정기관을 이용하는 구인 · 구직자 등과의 면접 및 설문조사, 사업주단체 · 노동단체 · 교육훈련기관 · 관계행정기관 및 직업안정기관과의 각종회의 등을 토오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한다. 이때 정보수집의 주요 방법이자 직무분석 방법으로 구조적 면접법(표준화 면접)과 비구조적 면접법(비표준화 면접)이 있다. 그럼 이제부터 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구조적 면접법의 의미
구조적 면접법은 면접자(면담자)가 면접조사표를 만들어서 상황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한 질문순서와 동일한 질문내용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이다.
▣구조적 면접법의 장 ·단점
구조적 면접법은 비구조적 면접법에 비해 응답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지만 타당도는 낮다. 또한 반복적인 면접이 가능하며 면접 결과에 대한 비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반해 면접의 신축성과 유연성이 낮고 깊이 있는 측정을 도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
비구조적 면접법은 면접자가 면접조사표의 질문 내용, 형식, 순서를 미리 정하지 않은 채 면접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응답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비구조적 면접법의 장 ·단점
비구조적 면접법은 구조적 면접에 비해 응답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타당도가 높지만 신뢰도는 낮다. 또한 면접의 신축성과 유연성이 높으며 깊이 있는 측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반해 반복적인 면접이 불가능하며 면접 결과에 대한 비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정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정보론 실기 기출문제]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직업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 (3) | 2025.01.04 |
---|---|
[직업정보론 실기 기출문제] 브레이필드(Brayfield)가 제시한 직업정보의 기능 3가지 (1) | 2024.10.25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고용정보의 유형 - 미시정보 / 거시정보" (0) | 2024.02.20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목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0) | 2024.02.19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 생산단위의 활동형태와 별개의 활동으로 간주하여야 하는 활동형태" (1)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