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심리학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홀랜드(Holland) 이론에 의한 성격유형 및 적합 직업, 해석과 비판점

summeru 2023. 4. 6. 13:38
반응형
  • 홀랜드(Holland) 이론의 6가지 성격유형과 적합 직업

1.현실형(Realistic)
분명하고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좋아하며, 기계를 조작하는 활동 및 기술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사회적 기술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기술직·토목직, 전기·기계기사, 농부, 목수, 트럭운전사 등이 있다.
2.탐구형(Investigative)
관찰적·상징적·체계적이며, 물리적·생활학적·문화적 현상의 창조적인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리더십 기술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화학자, 수학자, 분자공학자, 심리학자, 인류학자, 의사 등이 있다.
3.예술형(Artistic)
예술적 창조와 표현, 변화와 다양성을 선호하고 틀에 박힌 활동을 싫어하며, 자유롭고 상징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규범적 능력이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문학가, 작곡가, 미술가, 무용가, 무대감독, 디자이너 등이 있다.
4.사회형(Social)
타인의 문제를 듣고, 이해하고, 도와주고, 치료해 주는 활동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기계적 능력이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사회복지사, 교사, 상담가, 직업상담원, 간호사, 목회자 등이 있다.
5.진취형(Enterprising)
조직의 목적과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타인을 지도, 계획, 통제, 관리하는 일과 그 결과로 얻게 되는 명예, 인정, 권위를 선호하는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과학적 능력이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사업가, 기업실무자, 상품판매원, 보험설계사, 정치가 등이 있다.
6.관습형(Conventional)
정해진 원칙과 계획에 따라 자료를 기록, 정리, 조작하는 활동을 좋아하고 사무능력, 계산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예술적 능력이 부족하다.
적합 직업에는 사무직근로자, 경리사원, 비서, 사서, 은행원, 회계사, 세무사 등이 있다.


  • 홀랜드 육각형 모델과 관련된 해석 

일관성은 개인의 성격유형뿐만 아니라 환경유형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첫 두문자가 육각형에 인접할수록 공통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개 유형에서 거리가 가까울수록 공통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현실형과 탐구형은 현실형과 예술형보다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변별성은 1개의 유형에는 흥미가 높게 나타나지만 다른 유형에는 흥미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사회형에 흥미가 높게 나타나는 사람은 다른 유형에는 흥미가 별로 나타나지 않으며 그 중 현실형의 흥미가 가장 낮게 나타난다.
개인의 정체성은 분명하고 안정된 인생의 목표, 흥미, 재능을 가짐으로써 얻어지고, 환경적 정체성은 환경이나 조직이 분명하고 통합된 목표, 일, 보상이 일관되게 주어질때 생긴다.
 


  • 홀랜드의 육각형 모형 이론에 대한 비판점

사람들이 어떻게 그러한 유형이 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또한, 환경변화에 따라 인간의 행동이 변화될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그리고 진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