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발달규준
1.연령규준
개인의 점수를 규준집단에 있는 사람들의 연령에 비교해서 몇 살에 해당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2.학년규준
주로 성취도검사에서 이용하기 위해 규준집단에 있는 각 학년별 점수의 평균이나 중앙치를 이용하여 규준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3.언어발달규준
개인의 점수를 규준집단에 있는 사람들과 비교해서 언어발달 정도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4.서열규준
개인의 행동을 관찰하여 발달 단계 상 어느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집단 내 규준
1.백분위 점수
원점수를 백분위로 표시한 점수로 한 집단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다. 개인의 점수가 85점 이고 백분위(%)가 90일때, 85점 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사람이 90%라는 의미이다.
2.표준점수
점수분포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개인의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져있는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표준점수에는 Z점수와 T점수가 있다. Z점수는 평균=0, 표준편차 1, Z=(원점수-평균)/표준편차 이고, T점수는 평균=50, 표준편차=10, T=10Z+50 이다.
3.표준등급
스테나인 척도라고도 하며, 원점수를 크기 순서에 따라 배열한 후 백분율에 맞추어 1~9까지의 등급으로 나눈 것이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성취도검사나 적성검사의 결과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된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집단의 심리검사 점수 집중경향척도인 대표값 알아보는 방법 (0) | 2023.04.16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규준 제작시 사용되는 확률표집방법 (0) | 2023.04.1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 극대수행검사와 습관적 수행검사 (1) | 2023.04.14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수퍼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5단계 (0) | 2023.04.14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홀랜드(Holland) 이론에 의한 성격유형 및 적합 직업, 해석과 비판점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