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 보상적 임금격차의 발생 원인

summeru 2024. 1. 29. 12:57
반응형

보상적 임금격차의 발생 원인

 

보상적 임금격차(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는 직업의 임금 외적인 불리한 측면을 상쇄하여 근로자에게 돌아가는 순이익을 다른 직업과 동등하게 해 주어야 한다는 원리로써 '균등화 임금격차(Equalizing Wage Differntials)'라고도 한다. 즉, 열악한 상황에서 일하는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럼 이제부터 보상격차의 발생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보상적 임금격차 발생 원인

1. 고용의 안정성 여부 

어떤 직업의 고용이 불안정하여 실업할 가능성이 크다면 실업으로 인한 소득상실을 보상해 줄 정도로 높은 임금을 지불해 주어야 한다.

2. 작업의 쾌적성 여부 

어떤 직업의 작업내용이 다른 직업에 비해 위험이 따르고 작업환경 또한 열악하다면 이 직업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임금을 지불하여 비금전적 불이익을 보상해 주어야 한다.

3. 교육훈련 비용의 여부 

어떤 직업에 취업하기 위해 교육 및 훈련 비용이 들어간다면 이 비용은 이자를 붙여 임금으로 회수되어야 할 것이다. 

4. 책임의 정도

의사, 변호사, 보석 세공인 등은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일에 종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직업 종사자들은 그들에게 맡겨진 큰 책임으로 인해 높은 임금을 지불해 주어야 한다.

5. 성공 또는 실패의 가능성

임금소득이 보장되지 않아 장래가 불확실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보다 높은 임금을 지불해 주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