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기출 문제 "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결정 요인 " (힉스-마샬의 법칙)

summeru 2024. 1. 15. 15:28
반응형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결정 요인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Elasticity of Demand)은 독립변수인 임금률이 1% 변화할 때 그에 의해 유발되는 종속변수로서 노동수요량의 변화율을 말한다. 그럼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결정요인 즉, 노동수요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자.

 

1. 생산물 수요의 탄력성

노동의 수요는 기업에서 생산된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노동수요는 생산물의 수요에서 유발되는 파생수요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탄력적일수록 노동의 수요 또한 탄력적이다.

임금이 상승하는 경우 생산물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생산물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면 생산물에 대한 수요는 크게 감소할 것이며, 이는 노동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킬 것이다. 반면, 생산물 수요의 탄력성이 작다면 생산물의 가격이 상승하여도 수요에는 변동이 적을 것이므로 노동에 대한 수요의 감소도 적을 것이다.

 

2. 총생산비에 대한 노동비용의 비중

총생산비 중에서 노동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면 임금이 상승하더라도 상품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므로 노동수요에 대한 영향 또한 적을 것이다. 만약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생산비 중에서 노동비용이 차지하는 부분이 큰 경우, 임금의 상승은 상품가격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노동수요의 감소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3. 노동의 대체가능성

다른 시장 상황이 동일하나 노동의 가격, 즉 임금만 상승하는 경우 기업은 상대적으로 비싸진 노동을 다른 생산요소로 대체하고자 할 것이다. 임금이 상승하였을 때 다른 생산요소로의 대체가능성이 큰 경우, 기업은 다른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반면 노동에 대한 수요를 줄일 것이다. 그러나 노동의 대체가능성이 적은 경우 기업의 노동에 대한 수요는 크게 감소하지 않을 것이다. 

 

4. 노동 이외의 생산요소의 공급탄력성(다른 생산요소의 공급탄력성)

임금이 상승하면 생산물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생산물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노동의 수요뿐만 아니라 다른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또한 감소하게 된다. 만약 다른 생산요소의 공급탄력성이 비탄력적인 경우 약간의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다. 즉, 자본과 같은 노동 이외의 생산요소가 임금상승에 따른 생산물 가격의 상승을 상쇄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노동에 대한 수요 감소를 줄일 수 있다. 


[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에 대한 힉스-마샬의 법칙 ]

1. 생산물의 수요가 탄력적일수록 노동수요는 더 탄력적이 된다.

2. 총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노동비용의 비율이 클수록 노동수요는 더 탄력적이 된다.

3. 노동과 다른 생산요소 간의 대체가 용이할수록 노동수요는 더 탄력적이 된다.

4. 노동 이외의 생산요소의 공급탄력성이 클수록 노동수요는 더 탄력적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