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열등재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summeru 2024. 1. 22. 14:18
반응형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여가가 열등재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일반적으로 여가-소득의 개념을 배제한 전통적인 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 한다. 왜냐하면 노동공급의 증대는 노동의 한계비효용(노동을 증가하면서 느끼게 되는 고통 혹은 비효용)이 증대되어 이러한 고통을 보상·충족할 임금이 주어진 점에서 노동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임금이 상승할수록 개별노동자는 여가시간을 줄이고 노동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단, 임금변동에 따른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증감 정도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그리고 여가가 열등재와 정상재일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다.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소득의 증가에 따른 노동시간의 효과는 '대체효과(Substitytion Effect)''소득효과(Income Effect)'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대체효과는 임금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여가에 활용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비싸지게 됨으로써 근로자가 여가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다. 반면, 소득효과는 임금 상승에 따라 소득이 증가하여 근로자가 노동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여가시간과 소비재 구입을 늘리는 것이다.

 

여가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소득의 증가에 따라 재화의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 해당 재화를 '정상재(Normal Goods)' 라고 한다. 여가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곡선은 실질임금이 낮은 수준에서는 우상향 하다가 임금이 일정한 수준을 넘어서면 후방으로 굴절하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를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이라고 한다.

 

여가가 열등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소득의 증가에 따라 오히려 재화의 수요가 감소하는 경우 해당 재화를 '열등재(Inferior Goods)' 라고 한다. 여가가 열등재인 경우 노동공급곡선은 후방굴절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 수준과 무관하게 우상향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