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노동공급의 결정요인"

summeru 2024. 1. 17. 22:27
반응형

노동공급의 결정요인


노동공급(Labor Supply)이란 일정 기간 동안 노동자가 팔기를 원하는 노동의 양을 의미한다. 노동의 공급은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팔기를 원하는 노동량을 의미하므로 노동수요와 마찬가지로 '유량(Flow)'의 개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노동량을 일정 기간이 아닌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양으로 파악하는 경우 '저량(Stock)'의 개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노동공급의 일반적인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자. 

 

1. 인구 또는 생산가능인구의 크기

어떤 국민경제의 총인구 또는 생산가능인구가 증가할수록 노동공급도 증가하게 된다.

2.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활동참가율은 만 15세 이상의 생산가능인구에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을수록 노동공급이 증가하게 된다.

 

3. 노동공급시간(근로시간)

동일한 생산가능인구나 경제활동인구율을 가진 두 개의 국민경제에 있어서도 노동시간의 차이에 따라 공급되는 노동량은 달라진다. 노동공급시간이 증가할수록 노동공급도 증가한다.

 

4. 노동력의 질

노동생산성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노동자의 지식, 기술, 숙련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교육, 훈련을 통해 많은 능력과 기술이 축적되어 있다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공급이 늘어날 수 있다. 

 

5. 일에 대한 노력

노동자가 일에 대한 노력을 많이 기울일수록 노동공급도 증가한다.

 

6. 임금지불방식

직무가 개별 노동자들의 능력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에는 개별성과급제도를 기업 전체의 집단적인 생산성을 도모하기 위한 경우에는 집단성과급제도를 실시하여 노동공급의 증대효과를 도모한다.

 

7. 동기부여와 사기

종업원의 사기앙양과 회사에 대한 충성심을 고양시킴으로써 노동공급에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