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 노동수요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 요인 "

summeru 2024. 1. 5. 15:23
반응형

노동수요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에서 고용하고자 하는 노동의 양을 의미한다. 노동수요는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는데 이때 노동수요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 요인에 대해 알아보자.

 

노동의 가격 

노동의 가격은 노동수요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변수이다. 임금이 상승하는 경우 노동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임금이 하락하는 경우 노동수요는 증가한다. 임금과 노동수요는 부(-)의 관계를 가지므로 노동수요곡선은 임금에 대해 우하향한다.

 

상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

해당 노동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클수록 유발수요인 노동수요는 증가한다. 성장산업은 해당 분야에 대한 노동수요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지만, 사양산업은 해당 분야에 대한 노동수요의 감소 효과를 보인다.

 

다른 생산요소의 가격변화

다른 생산요소가 노동의 대체관계인 경우 다른 생산요소의 가격이 오르면 노동수요는 증가한다. 생산요소로서 자본과 노동만이 존재하고 이들 요소 간에 대체가 가능하다면, 자본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기업은 자본을 노동으로 대체하고자 할 것이므로 노동의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자본의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노동의 수요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노동생산성의 변화

노동생산성이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적은 생산요소의 투입으로도 생산을 가능하게 하므로 생산을 한 단위를 만들어내는 데 소요되는 노동량은 감소한다. 이론적으로 볼 때 노동생산성이 증가하는 경우 노동수요가 감소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물가 하락, 소득 증가 등에 의한 생산물 수요 증가로 인해 고용이 증가하는 측면도 있다.

 

생산기술의 진보

생산기술의 진보도 노동 생산성의 증가와 마찬가지로 생산물 한 단위를 만들어내는 데 소용되는 노동량을 감소시킨다. 생산비의 절감에 따른 상품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추가적인 노동수요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특히 자본절약적인 생산기술의 진보는 노동 기술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