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수집과정 4단계
직업정보 수집 및 대안개발에는 직업분류 제시하기, 대안 만들기, 목록 줄이기, 직업정보 수집하기로 4단계가 있다. 그럼 지금부터 직업정보 수집과정 4단계의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내담자가 수집한 대안목록의 직업들이 실현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상담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직업정보 수집과정 4단계
1. 직업분류 제시하기
먼저 직업정보 수집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내담자에게 직업분류체계를 제공한다.
2. 대안 만들기
제2단계에서는 내담자와 함께 대안직업들에 대해 광범위한 목록을 작성한다.
3. 목록 줄이기
내담자와 함께 2~5개의 가장 적당한 대안으로 목록을 줄이는 것이 직업정보 수집과정의 3번째 단계이다.
4. 직업정보 수집하기
마지막으로 내담자에게 줄어든 목록 각각의 대안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시한다.
◎ 내담자가 수집한 대안목록의 직업들이 실현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상담전략
상담자의 견해는 자기 자신의 편견이나 부정적 경험의 결과가 아닌 내담자의 상황을 토대로 한 것이어야 한다. 이때 자신의 판단이 잘못된 것일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어떤 경우에서든 내담자를 특정 방향으로 가도록 설득할 권리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객관적인 증거나 논리에서 추출한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해야 하며 자신의 감정을 토대로 이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최종 의사결정은 반드시 내담자의 몫이라는 점을 확실히 해 상담자는 내담자가 어떤 선택을 하던지 간에 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가 처음에 수집한 대안목록의 직업들이 실현 불가능해 보일 경우 상담자는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대안직업 대다수가 부적절한 것임을 명확히 해둔다. 내담자의 직업들 대부분이 어떤 식으로든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질 경우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그와 같은 직업들에 정서적 열정을 소모하기 전에 신속히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내담자의 의사결정 촉진을 위한 '6개의 생각하는 모자(Six Thinking Hats)' (1) | 2024.10.13 |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 기술인 '적극적 경청, 공감, 명료화, 직면' (0) | 2024.07.30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하는데 기본이 되는 상담 기법 (0) | 2024.07.29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인지적 명확성의 부족을 나타내는 내담자 유형 (1) | 2024.07.23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 코틀의 원형검사 시간전망 개입에서 원의 의미/ 원의 크기/ 원의 배치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