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심리학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검사-재검사 신뢰도 중심으로)

summeru 2023. 4. 16. 11:34
반응형
  •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

1.검사-재검사 신뢰도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사람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번 실시하여 두 점수간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2.동형검사 신뢰도
두개의 동형검사(문제는 다르지만 난이도는 비슷한 동등한 유형의 검사)를 동일한 사람에게 실시하여 두 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3.반분 신뢰도
전체 문항수를 반으로 나누어 실시하여 두 점수간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4.문항 내적 합치도
문항 하나하나를 독립된 검사로 보고 각 점수를 비교하여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 검사-재검사 신뢰도 추정시 충족되어야 할 요건

1.측정 내용 자체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2.첫 번째 검사경험이 두 번째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3.어떤 학습활동이 두 번째 검사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형태

1.이월 효과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짧을 경우 첫 번째 검사에서 답한 것을 기억해서 두 번째 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2.반응민감성 효과
첫 번째 검사 경험이 두 번째 검사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측정대상 속성의 변화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클 경우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화 할 수 있다.
4.응답자 속서의 변화
일부 비 협조적인 피검사자들은 두 번째 검사에 불성실 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을 거부할 수 도 있다.
5.개인적 요인의 변화 
두 검사 시기에 피검사자들의 신체적·정신적 상태가 모두 같다고 볼 수 없다.
6.환경적 요인의 변화
두 검사 시기에 물리적 환경(온도, 습도, 날씨 등)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