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볼츠(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 중 진로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크롬볼츠(Krumboltz)는 학습이론의 원리를 직업선택의 문제에 적용하여 행동주의 방법을 통해 진로선택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의 교육적·직업적 선호 및 기술이 어떻게 획득되며 교육프로그램, 직업, 현장의 일들이 어떻게 선택되는지 설명한다. 크롬볼츠는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 '환경조건과 사건' , '학습경험' , '과제접근기술'을 제시한다. 그럼 이제부터 진로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가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봄과 동시에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Genetic Endowments & Special Abilities)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이란 개인의 진로기회를 제한하는 타고나 특질을 말한다. 즉, 교육적·직업적인 선호나 기술에 제한을 줄 수 있는 자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인종, 성별, 신체적인 모습과 특징, 지능, 예술적 재능 및 근육의 기능 등이 포함된다.
◎ 환경조건과 사건(Environmental Conditions & Events)
환경조건과 사건은 환경에서의 특정한 사건이 기술개발, 활동, 진로선호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취업 가능한 직종의 내용, 교육훈련이 가능한 분야, 사회정책, 노동법, 천재지변, 천연자원의 공급 및 이용가능 정도, 기술의 발달, 사회조직의 변화, 가정의 영향, 교육제도 및 이웃과 지역 사회의 영향 등이 포함된다.
◎ 학습경험(Learning Experiences)
학습경험은 개인이 과거에 학습한 경험은 현재 또는 미래의 교육적·직업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크롬볼츠는 크게 도구적 학습경험과 연상적 학습경험, 이 두 가지 유형의 학습경험을 가정하고 있다.
1. 도구적 학습경험(Instrumental Learning Experiences)
도구적 학습경험은 주로 어떤 행동이나 인지적인 활동에 대한 정적 또는 부적 강화를 받을 때 나타난다. 사람들은 정적 강화를 받게 되면 이와 관련된 행동을 반복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기술을 보다 잘 숙지하게 되고 행동 그 자체에 내적인 흥미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과거의 학습경험이 교육적·직업적 행동에 대한 도구로 작용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도구적 학습경험은 '선행사건(Antecedents) → 행동(Behavior) → 결과(Consequences)'의 순서에 의해서 학습된다.
2. 연상적 학습경험(Associate Learning Experiences)
연상적 학습경험은 이전에 경험한 감정적으로 중립인 사건이나 자극을 정서적으로 비중립적인 사건이나 자극과 연결시킬 때 일어난다. 예를 들어, 중병에 걸렸던 사람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건강을 회복하였다면 병원이라는 감정적으로 중립인 자극이 그에게 정적인 영향을 미쳐 나중에 의사가 되는 것을 희망할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개인이 체험하는 직접적인 것으로 간접적이거나 대리적인 학습경험도 개인의 교육적·직업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은 지적이며 훌륭한 정보처리자로 간주되며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책이나 TV 등의 매체를 통해 정보 수집을 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행동이나 기술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 과제접근기술(Task Approach Skills)
과제접근기술은 개인이 환경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며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이나 경향으로 학습경험, 유전적 요인, 환경적인 조건이나 사건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 과제접근기술에는 문제해결 기술, 일하는 습관, 정보수집 능력, 감성적 반응, 인지적 과정 등이 포함된다.
◎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크롬볼츠는 진로결정 요인들 중에서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및 '환경조건과 사건'을 환경적 요인이라 하였고 '학습경험'과 '과제접근기출'을 심리적 요인이라고 정의하였다. 환경적 요인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나 일반적으로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상담을 통해서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심리적 요인은 개인의 생각과 감정과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결국 상담자는 내담자가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3가지 영역모델(영역모형)" (1) | 2024.03.20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반두라의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중 진로발달의 결정요인" (0) | 2024.03.19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고트프레드슨 개인발달(직업포부)의 발달 단계" (0) | 2024.03.14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경력개발 5단계 개발방법" (0) | 2024.03.13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수퍼의 진로발달단계(경력발달단계)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