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심리학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진로성숙검사(CMI)의 태도 척도와 능력 척도 "

summeru 2024. 4. 11. 15:27
반응형

진로성숙검사(CMI)의 태도 척도와 능력 척도


진로발달이란 자기에 대한 이해와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계획과 선택을 통합하고 조정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이해와 조정과 통합이 어느 정도 수준인가를 나타내는 것이 진로성숙도이다. 진로성숙검사에는 진로발달검사(CDI ; Career Development Inventory)와 진로성숙도검사(CMI ; Career Maturity Inventory)가 있다. 이 중에서 진로성숙도검사는 객관적으로 점수화되고 표준화된 진로발달 측정도구로서 최초로 출판된 것이다. 이 것은 직업성숙 개념과 진로유형연구 영향을 많이 받았고 태도척도(Attitude Scale)와 능력척도(Competence Scale)로 구성된다. 그럼 이제부터 진로성숙검사의 태도 척도와 능력 척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문제 - 진로성숙검사의 태도척도와 능력척도

 

◎ 진로성숙검사(CMI)의 태도 척도

태도척도 가운데 상담용 척도는 7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50개 문항은 선발척도의 문항과 동일하다. 이들 75개의 문항들은 진로결정성, 참여도, 독립성, 성향, 그리고 타협성의 5개 하위척도로 구분된다.

1. 결정성

결정성은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면 낮은 결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참여도

참여도는 진로선택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관여도라고도 한다. 만약 나는 졸업할 때까지는 진로선택 문제에 별로 신경  쓰지 않겠다고 한다면 참여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3. 독립성

독립성은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나는 부모님이 정해주시는 직업을 선택하겠다고 말한다면 이는 독립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4. 성향

성향은 지향성이라고도 하며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이해와 준비의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한 바가 거의 없다면 성향의 정도가 낮은 것이다.

5. 타협성

타협성은 진로를 선택할 때 욕구와 현실에 타협하는 정도를 말한다. 만약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면 타협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 진로성숙검사(CMI)의 능력 척도

능력척도는 진로의사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지식영역을 의미하는데 이는 자기 평가, 직업정보, 목표선정, 계획, 그리고 문제해결 등 5개의 영역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은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 100개의 문항이 능력척도를 구성하고 있다.

1. 자기 평가

자기 평가는 자신의 성격과 흥미, 태도를 명확히 지각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2. 직업정보

직업정보는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과 고용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뜻한다.

3. 목표선정

목표선정은 자아와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직업선택을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4. 계획

계획은 직업목표를 선정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을 말한다.

5. 문제해결

문제해결은 진로선택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