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노동시장론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_ 부가급여의 의미와 종류, 선호 이유

summeru 2024. 1. 27. 23:26
반응형

부가급여의 의미와 종류, 선호 이유


 

사용자가 종업원에게 개별적 또는 단체적으로 지급하는 임금 이외의 현물보상, 연기된 보상 등을 의미하는 부가급여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부가적인 편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부가급여의 의미 및 종류와 함께 사용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와 근로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직업상담사 2급 노동시장론 실기 기출 부가 급여 의미 및 종류

1. 부가급여의 의미

부가급여는 금로자에게 실제 근로시간에 대한 임금 이외에 지급하는 모든 보상을 말한다.

 

2. 부가급여의 종류

(1) 유급휴일, 공휴일 등의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급여

(2) 국민연금·건강보험료·산재보험료·고용보험료의 사용자 부담분

(3) 사용자부담의 교육훈련비

(4) 사용자가 적립하는 퇴직금

(5) 무료급식·작업복 등의 현물급여, 사택이나 차량제공, 학자금 지급 등

 

3. 사용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

사용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 첫 번째는 정부의 임금규제 강화시 이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임금인상 대신 부가급여 수준을 높인다. 그리고 전반적인 임금통제시기에 양질의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임금액의 증가를 부가급여로 대체하여 조세나 보험료의 부담이 감소된다.

4. 근로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

근로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먼저 근로소득세의 부담이 감소하고 현물형태의 급여는 대량 할인되어 구입하므로 실제로 근로자에게 이익이 돌아간다. 또한 연금 또는 퇴직금의 노령기 수령은 세율이 낮으므로 근로자가 부가급여를 선호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