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심리학2차시험 7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직무스트레스가 주는 행동적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주는 행동적 결과 과제특성, 즉 복잡한 과제 또는 과제곤란도,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 또는 역할과소 등에 의해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그럼 이제부터 직무스트레스가 주는 행동적 결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직무수행 감소 개인의 초기 수행실적은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실적은 오히려 감소한다. ◎ 결근 및 이직 직무스트레스의 결과 중에서도 지각이나 결근 등은 스트레스로 인한 가장 명백한 손실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직무 불만족 긍정적 지각과 해석은 직무만족과 정적 관계인 반면에 부정적 지각과 해석은 직무만족과 부적 관계이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직무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과 해..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조직과 직무 관련 스트레스 원인"

조직과 직무 관련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는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와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로 나눠 이해할 수 있다. 스트레스에 대한 견해 중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는 환경적 자극요인과 개인의 개별 특징적 반응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스트레스이다. 스트레스는 환경의 요구가 개인의 능력과 자원을 초과하거나 개인이 요구하는 것을 환경이 마련해 주지 못할 때 야기된다고 보는데, 이 중에서 조직과 직무에서의 주된 스트레스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과제특성(복잡한 과제 또는 과제곤란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업무 처리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제가 복잡해지면 그만큼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지루하게..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심리검사에서 준거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검사에서 준거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준거타당도는 검사도구가 미래의 행위를 예언하므로 선발이나 배치, 훈련 등의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설득력을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타당도 중에서 특히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하다. 그럼 이제부터 심리검사에서 준거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표집오차 검사점수와 준거점수의 상관계수는 일부 표본을 대상으로 얻게 되는데 이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 표집오차가 커지고 그 결과 타당도계수가 낮아진다. 다시 말해 표집오차는 표본의 크기가 작아지면 급격하게 증가한다. 2. 범위제한 준거타당도 계산을 위해 얻은 자료들이 검사점수와 준거점수의 전체범위를 포괄하지 않고 일부만을 포괄하는 경우 상관계..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준거타당도(Criterion Validity)는 기준타당도 또는 준거 관련타당도라고도 하며 경험적 근거에 의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통계적으로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에 관심을 둔다. 그럼 이제부터 준거타당도가 낮은 검사를 사용하면 왜 문제가 되는지, 여러 가지 타당도 중에서도 특히 직업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직업 상담에서 준거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1.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설득력 제공 준거타당도는 검사 도구가 미래의 행위를 예언하므로 선발이나 배치, 훈련 등의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설득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타당도가 검증된 ..

[직업상담사 2급]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준거타당도의 종류 - 예언타당도 / 동시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종류 - 예언타당도 / 동시타당도 준거타당도(Criterion Validity)는 기준타당도 또는 준거 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라고도 하며 경험적 근거에 의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미 전문가가 만들어놓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에 의한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통계적으로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에 관심을 둔다. 준거변인에 관한 측정이 어느 시기에 행해지는가에 따라 '동시타당도 또는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와 '예언타당도 또는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로 구분된다. 그럼 이제부터 예언타당도와 동시타당도에 대해 알..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측정 오차 줄이기 위한 방법"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 신뢰도는 믿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개인차, 문항 수, 문항 반응 수, 검사 유형, 신뢰도의 추정방법 등이 있다. 측정의 신뢰도(Reliability)를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측정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그럼 이제부터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측정 상황의 분석 및 일관성 유지 어떠한 요인이 측정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상황 자체에 대한 분석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측정도구는 항상 표준화되고 잘 통제되며 최대한 동일한 조..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검사-재검사 신뢰도 추정 요건과 단점"

검사- 재검사 신뢰도 추정 시 충족되어야 할 요건과 단점 검사-재검사의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가장 기초적인 신뢰도 추정방법으로서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수검자 집단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점수의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한다. 안정성을 강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용이 매우 간편하나 대부분의 심리검사에서 신뢰도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럼 이제부터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추정할 때 충족되어야 할 요건과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의 형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검사- 재검사 신뢰도 추정 시 충족되어야 할 요건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두 검사의 실시 간격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검사 간격이 짧은 경우 신뢰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