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상담사실기기출 13

[직업상담사] 노동시장론 기출문제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열등재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여가가 열등재와 정상재인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 일반적으로 여가-소득의 개념을 배제한 전통적인 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 한다. 왜냐하면 노동공급의 증대는 노동의 한계비효용(노동을 증가하면서 느끼게 되는 고통 혹은 비효용)이 증대되어 이러한 고통을 보상·충족할 임금이 주어진 점에서 노동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임금이 상승할수록 개별노동자는 여가시간을 줄이고 노동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단, 임금변동에 따른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증감 정도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그리고 여가가 열등재와 정상재일 경우 노동공급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다.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소득의 증가에 따른 노동시간..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야호다(Jahoda)의 박탈이론 5가지 잠재효과

실업과 관련된 야호다(Jahoda)의 박탈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고용상태에 있게 되면 실직 상태에 있는 것 보다 여러 가지 잠재효과가 있다고 한다. 5가지 잠재효과를 기술하시오. 1. 시간의 조직화 시간을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사회적 접촉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접촉하여 사회적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3. 공동의 목표(외부적인 목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공동적인 계획이나 기획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이 쓸모 있음을 느낄 수 있다. 4. 사회적 정체감과 지위 직장에 소속되어 자신의 정체감을 느끼고 사회적인 지위를 가질 수 있다. 5. 활동성 의미 있는 정규 활동을 통해 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진로성숙검사(CMI)의 태도척도와 능력척도

진로성숙검사(CMI)의 태도척도 1.결정성 선호하는 진로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2.참여도 진로선택 과정에 능동적 참여의 정도를 말한다. 3.독립성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4.성향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비의 정도를 말한다. 5.타협성 진로선택시 욕구와 현실에 타협하는 정도를 말한다. 진로성숙검사(CMI)의 능력척도 1.자기평가 자기의 성격·흥미·태도를 명확히 지각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2.직업정보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 고용에 관한 정보 등을 획득·평가 하는 능력을 말한다. 3.목표선정 자아와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합리적인 직업선택을 하는 능력을 말한다. 4.계획 직업목표 선정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을 말한다. 5.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