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실업과 관련된 야호다(Jahoda)의 박탈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고용상태에 있게 되면 실직 상태에 있는 것 보다 여러 가지 잠재효과가 있다고 한다. 5가지 잠재효과를 기술하시오.
1. 시간의 조직화
시간을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사회적 접촉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접촉하여 사회적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3. 공동의 목표(외부적인 목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공동적인 계획이나 기획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이 쓸모 있음을 느낄 수 있다.
4. 사회적 정체감과 지위
직장에 소속되어 자신의 정체감을 느끼고 사회적인 지위를 가질 수 있다.
5. 활동성
의미 있는 정규 활동을 통해 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중다특성-중다방법 행렬표(MTMM)를 확인하는 절차 (1) | 2023.09.18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스트롱 직업흥미검사 척도 (0) | 2023.09.18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 예비문항 제작 시 고려사항과 심리검사 시 윤리적 고려사항 (0) | 2023.06.2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 중 객관적 형태인 자기보고형 검사의 장점과 단점 (0) | 2023.06.2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변인 및 직무 스트레스 원인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