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변인
1.A·B 성격유형
직무수행에 있어서 경쟁, 성취, 신속, 완벽을 추구하는 A형 유형이 느긋함과 차분함을 추구하는 B형 성격유형에 비해 스트레스에 취약하다.
2.통제의 위치
직무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내부(자신의 행동)에 의한 것이라는 내적 통제자보다 그 원인을 외부(운명, 재수)에 의한 것이라는 외적 통제자가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3.사회의 지원
사회적 지원이 일정 수준 직무스트레스의 인지도를 낮추는 동시에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 직무와 조직에서의 주된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
1.과제특성
개인이 갖고 있는 일의 처리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제가 복잡해지면 그만큼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2.역할모호성
역할이 불명확하거나 일관성이 없이 수행되는 상태 또는 현상을 말한다. 개인의 책임한계나 직무의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서 역할이 분명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3.역할과다
기대와 직무가 요구하는 바가 역할 담당자의 능력을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4.역할과소
기대와 직무가 요구하는 바가 역할 담당자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 예비문항 제작 시 고려사항과 심리검사 시 윤리적 고려사항 (0) | 2023.06.26 |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 중 객관적 형태인 자기보고형 검사의 장점과 단점 (0) | 2023.06.26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심리검사도구 검사장면에 따른 준거 (1)축소상황검사 (2)모의장면검사 (3)경쟁장면검사 (0) | 2023.04.18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오답 능률도 (0) | 2023.04.17 |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직업심리검사에서의 척도 유형과 전통적 척도화 방식 (0)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