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적 상담의 방어 기제의 종류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에 의하면 인간은 비관적이고 결정론적이며 환원적인 존재이다. 또한 비합리적·생물학적인 충동과 본능을 만족시키려는 욕망에 동기화되는 존재로 보고 있다. 정신분석적 상담은 내담자의 자각을 증진시키고 직업적인 방법으로 불안을 통제할 수 없을 때 무의식적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그럼 이제부터 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억압(Repression)
억압은 의식하기에는 현실이 너무나 고통스러워 죄의식이나 괴로운 경험, 수치스러운 생각을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선택적인 망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부모의 학대에 대한 분노심을 억압하여 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무의식적으로 꺼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2. 부인 또는 부정(Denial)
부인 또는 부정은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이나 욕구를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애인이 교통사고로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은 채 여행을 떠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
3. 합리화(Rationalization)
합리화는 현실에 더 이상 실망을 느끼지 않기 위해 또는 정당하지 못한 자신의 행동에 그럴듯한 이유를 붙이기 위해 자신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정당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여우가 먹음직스러운 포도를 발견하였으나 먹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저 포도는 신 포도라서 안 먹는다"라고 말하는 경우이다.
4. 반동형성(Reacion Formation)
반동형성이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 소망이나 충동을 본래의 의도와 달리 반대되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준다는 의미이다.
5. 투사(Projection)
투사란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마치 다른 사람의 것인 양 생각하고 남을 탓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기가 화가 난 것을 의식하지 못한 채 상대방이 자기에게 화를 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6. 퇴행(Regression)
퇴행은 생의 초기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생각이나 감정, 행동에 의지하여 자기 자신의 불안이나 위협을 해소하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대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동생이 태어난 후 밤에 오줌을 싸는 경우가 있다.
7. 전위 또는 전치(Displacement)
전위나 전치는 자신이 어떤 대상에 대해 느낀 감정을 보다 덜 위협적인 다른 대상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장상사에게 야단맞은 사람이 부하직원이나 식구들에게 트집을 잡아 화풀이를 하는 경우,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는 말이 있다.
8. 대치(Substitution)
대치는 받아들여질 수 없는 욕구나 충동 에너지를 원래의 목표에서 대용 목표로 전환시킴으로써 긴장을 해소하는 것이다. 예로 꿩 대신 닭을 말할 수 없다.
9. 격리(Isolation)
격리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그에 동반된 부정적인 감정을 의식으로부터 격리시켜 무의식 속에 억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장상사와 심하게 다툰 직원이 자신의 '상사살해감정'을 무의식 속으로 격리시킨 채 업무에 있어서 잘못된 것이 없는지 서류를 강박적으로 반복하여 확인하는 경우를 말한다.
10. 보상(Compensation)
보상이란 어떤 분야에서 탁월하게 능력을 발휘하여 인정을 받음으로써 다른 분야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하여 자존심을 고양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이 있다.
11. 승화(Sublimation)
승화는 정서적 긴장이나 원시적 에너지의 투입을 사회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행동방식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술가가 자신의 성적 욕망을 예술로 승화하는 경우이다.
12. 동일시(Identification)
동일시는 자기가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대상과 자기 자신 또는 그 외의 대상을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예로 자신의 좋아하는 연예인의 옷차림을 따라 하는 경우이다.
13.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주지화는 위협적이거나 고통스러운 정서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또는 그것을 둔화시키기 위해 사고, 추론, 분석 등의 지적 능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덜기 위해 죽음의 의미와 죽음 뒤의 세계에 대해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경우이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 >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2차 실기 기출 문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접근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접근의 인간관 비교" (0) | 2024.05.13 |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아들러(Adler) 개인주의 상담의 4단계 치료과정" (0) | 2024.05.12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크라이티스(Crites)의 직업선택 문제유형 분류 (3가지 변인)" (0) | 2024.05.08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보딘(Bordin)의 직업선택 문제유형 분류" (0) | 2024.05.07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윌리암슨의 직업선택 문제유형 분류(변별진단 4가지 범주)" (1)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