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아들러(Adler) 개인주의 상담의 4단계 치료과정"

summeru 2024. 5. 12. 12:44
반응형

아들러(Adler) 개인주의 상담의 4단계 치료과정


아들러(Adler)는 프로이트(Freud) 곁을 떠나 개인심리학을 창시하였다. 그 이유는 본능적 충동이나 무의식적 과정보다 사회적 충동이나 의식적 사고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생물학적이고 심리성적인 결정론에 반발하여 인간의 성장가능성과 잠재력을 중시하였다. 그럼 지금부터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의 4단계 치료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의 4단계 치료과정

1. 제1단계 - 상담관계의 형성 및 치료목표 설정

제1단계에서는 생산적인 상담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담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언어적·비언어적 경청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나 열등감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협력적인 분위기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며 상호합의 하에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치료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2. 제2단계 - 개인역동성의 탐색

제2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활양식과 가족환경, 개인적 신념과 부정적 감정, 자기 파괴적인 행동 양상 등을 파악하여 그것이 현재 생활의 문제에 있어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내담자의 개인역동성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며 특히 가족구조, 출생순위, 꿈, 최초기억, 행동패턴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 제3단계 - 해석을 통한 통찰

제3단계에서는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한 지지와 격려를 지속적으로 보내는 한편, 해석과 직면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생활양식을 자각하며 자신의 외면적 행동을 통해 나타나는 내재적 원인에 대해 통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제4단계 - 재교육 혹은 재정향

재교육 또는 재정향이란 통찰을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내담자로 하여금 회피해 왔던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담자는 해석을 통해 획득된 내담자의 통찰이 실제 행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다양한 능동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잘못된 생각을 계속해서 유지하고자 할 때 그것을 지적하며 내담자가 달성할 수 있는 과제를 내담자와 함께 정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