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흥미사정목적 2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내담자 흥미사정목표와 흥미사정기법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목적과 흥미사정기법흥미사정하기는 개인의 관심이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일으키는 어떤 것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즉, 흥미는 개인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이나 즐기거나 좋아하는 것의 지표이다. 개인의 흥미나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선호 활동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목적인 내담자 흥미사정목표와 함께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사정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흥미사정의 목표흥미사정의 목표로는 자기 인식 발전시키기, 직업 대안 규명하기, 여가선호와 직업선호 구별하기, 직업 및 교육상의 불만족 원인 규명하기, 직업탐색 조장하기가 있다. 이때 직업 대안은 여가 대안이 아님을 참고하여야 한다. ◎..

[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_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목적과 흥미사정기법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목적 1. 자기인식 발전시키기 2. 직업대안 규명하기 3. 여가 선호와 직업 선호 구별하기 4. 직업·교육 상 불만족 원인 규명하기 5. 직업 탐색 조장하기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사정기법 1. 직업경험 분석 내담자의 직업 경험을 통해서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기법이다. 2. 직업카드 분류법 직업카드를 선호군, 혐오군, 미결정군으로 나누도록 하여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기법이다. 3. 직업흥미검사 홀랜드 직업선호도 검사, 스트롱 직업흥미검사 등을 통해 내담자의 흥미를 사정하는 기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