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정보론2차기출문제 3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목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구분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근로자로 하여금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습득하고 향상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이다. 여기서 근로자라 함은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가 있는 자를 말한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은 15세 이상인 자에게 실시하되 15세 이상으로서 훈련대상자의 연령 범위를 따로 정하거나 필요한 학력, 경력 또는 자격을 정할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목적(내용과 대상)에 따른 구분과 실시방법에 따른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 훈련의 목적에 따른 구분 1. 양성훈련 양성훈련은 근로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의미한다. 2. 향상훈련 향상훈련은 양성훈련을 받은 사람이나 직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표준직업분류 상 직능, 직능 수준, 직능 유형"

한국표준직업분류 상 직능, 직능 수준, 직능 유형 직업분류란 수입(경제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이며 우리나라 직업구조 및 실태에 맞도록 표준화한 것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직무수행능력을 근거로 편제되며 직능 수준과 직능유형을 고려하고 있다. 그럼 이제부터 직능, 직능 수준, 직능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직능(Skill) 직능이란 주어진 직무의 업무와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 즉, 직무수행능력을 말한다. 직능 수준(Skill Level) 주어진 업무 또는 임무 기능의 복잡성, 직무수행능력의 높낮이를 말하는 직능 수준은 정규과정, 직업훈련, 직업경험, 그리고 선천적 능력과 사회문화적 환경 등에 의해 결정된다. 1. 국제표준..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

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 직업정보는 국내외의 각종 직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체계화시킨 것으로 국가, 기업, 개인(사회)이 직업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자료이자 직업별 직무내용, 직업전망, 직업별 근로조건 등에 관한 모든 종류의 직업 관련 정보를 말한다. 그럼 이제 민간직업정보와 공공직업정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민간직업정보의 특징 민간직업정보은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되어 운영되며 노동시장환경, 취업상황, 기업의 채용환경 등을 반영한 직업정보가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조사되어 집중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특정한 목적에 맞게 해당 분야 및 직종이 제한적으로 선택되고 정보생산자의 임의적 기준 또는 시사적인 관심이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당 직업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