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정보론2차기출 3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장·단점"

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장 · 단점 고용정보는 구인신청서, 구직신청서, 각종 통계조사·업무통계, 조사연구자료 및 보고서, 신문·잡지·관계기관지 등의 기사 및 은행·민간신용기관이 공표하는 정보지 등 기존 정보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방법과 관내 사업체 및 사업주단체 등의 방문, 직업안정기관을 이용하는 구인 · 구직자 등과의 면접 및 설문조사, 사업주단체 · 노동단체 · 교육훈련기관 · 관계행정기관 및 직업안정기관과의 각종회의 등을 토오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한다. 이때 정보수집의 주요 방법이자 직무분석 방법으로 구조적 면접법(표준화 면접)과 비구조적 면접법(비표준화 면접)이 있다. 그럼 이제부터 구조적 면접법과 비구조적 면접법의 의미와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고용정보의 유형 - 미시정보 / 거시정보"

고용정보의 유형 - 미시정보 / 거시정보 고용정보는 미시정보와 거시정보로 나눌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고용정보를 미시정보와 거시정보로 나누고 그 특징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미시정보의 특징 미시정보는 정보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므로 보통 개별사업에 국한된다. 이에 구인업체, 구직자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또한 특정 목적에 맞게 해당 분야의 직종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이고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미시정보는 직업안정을 목적으로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하며 정보로서의 기한이 짧으며 그 범위가 포괄적이지 못하다. ▣미시정보의 종류 고용정보에는 구인 및 구직정보, 자격정보, 훈련정보, 임금정보, 취업박람회 등이 있다. ▣거시정보의 특징 거시정보는 정책 및 법률의 입안으로 연결되는 정보로서 보통 포괄적인 산..

[직업상담사] 직업정보론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육체활동의 구분"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 중 육체활동의 구분 육체활동은 해당 직업의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균형감각, 웅크림, 손, 언어력, 청각, 시각 등이 요구되는 직업인지를 보여준다. 다만 육체활동은 조사대상 사업체 및 종사자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체 직업종사자의 육체활동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그럼 이제부터 육체활동의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균형감각 균형감각은 손, 발, 다리 등을 사용하여 사다리, 계단, 발판, 경사로, 기둥, 밧줄 등을 올라가거나 몸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좁거나 경사지 거나 또는 움직이는 물체 위를 걷거나 뛸 때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작업이다. 웅크림 웅크림은 허리를 굽히거나 몸을 앞으로 굽히고 뒤로 젖히는 동작과 다리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