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준거참조검사 2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 실기 기출 "심리검사의 분류 - 속도검사 vs 역량 검사 / 규준참조검사 vs 준거참조검사"

심리검사의 분류 - 속도검사와 역량검사 /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 심리검사는 크게 실시방식에 따른 분류와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측정내용에 따른 분류로 구분된다. 실시방식에 따른 분류는 실시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속도검사와 역량검사로 분류할 수 있고 검사의 인원에 따른 분류로 개인검사와 집단검사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의 도구에 따라 지필검사와 수행검사로 나뉜다. 한편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는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가 있는데 두 검사의 분류는 검사점수를 다른 대표집단 사람들의 점수와 비교해서 해석하는가, 아니면 특정 기준을 토대로 해석하고 사용하는가의 차이이다. 마지막으로 측정내용에 따라서는 인지적 검사와 정서적 검사로 나뉜다. 그럼 이제부터 심리검사의 분류 중 속도검사와 역량검사, 규준참조..

[직업상담사] 직업심리학_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 극대수행검사와 습관적 수행검사

규준참조검사 1.의미 : 검사 점수를 다른 사람의 점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떤 수준인지를 알아보는 검사이다. 2.예 : 대부분의 심리검사, 선발시험 등이 있다. 준거참조검사 1.의미 : 검사 점수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기준점수와 비교해서 이용하려는 검사이다. 기준 점수는 검사, 조직의 특성, 시기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2.예 : 대부분의 국가자격시험 등이 있다. 극대수행검사 (인지적검사, 성능검사, 능력검사) 일반적으로 문항의 정답이 있고 시간제한이 있으며 수검자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것을 요구한다. 종류에는 지능검사, 적성검사, 성취도검사 등이 있다. 습관적 수행 검사 (정서적 검사, 성향 검사) 일반적으로 문항의 정답이 없고 시간제한도 없기 때문에 따라서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