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담자중심(인간중심) 직업상담의 대표적인 한자는 로저스(Rogers)로 인간이 현실에 대한 자신의 지각에 따라 스스로를 구조화하고, 자신이 지각하는 현실 속에서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직업상담학 기출문제 중 2021년 직업상담사 2급 시험에 출제된 내담자중심(인간중심) 직업상담 문제 지문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풀이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이는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에 대해 설명하고 답을 찾는 문제이다. 모든 내담자는 공통적으로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로 인해서 고통을 받고 있다고 보고 직업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직업문제를 진단하는 것 자체가 불필요하다고 보는 접근방법은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이다. 따라서 1번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이 정답이다.
로저스는 비지시적 상담에서 내담자중심 치료로 전환하면서 치료의 중요한 변인으로 치료적 환경을 강조하였다. 그는 만약 치료자들이 내담자에게 현상학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내담자와 공감을 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치료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생각했다.
이에 더하여 내담자 중심 접근법에서 말하는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간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기 개념을 형성하게 되고 특히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관심을 받기 위해 그들의 가치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를 자기 개념을 형성하는 기초로 사용하게 된다. 타인의 가치체계에 의해 형성된 자기 개념은 자신이 유기체로서 느끼고 생각하는 것과는 차이가 나므로 이와 같은 자기 개념과 유기체적 경험 간의 불일치는 불안과 고통을 유발한다. 그로 인해 유기체적 경험을 부정하거나 자기 개념에 맞게 현실을 왜곡시켜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이상적인 자기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현실적인 자기와의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인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내담자 중심 접근법은 내담자가 유기체적 경험을 왜곡 없이 지각하여 이를 자기 개념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환경적인 조건이 마련된다면 내담자는 자신의 내면의 힘으로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가며 성장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이번 문제 또한 인간중심(내담자중심) 진로상담의 개념에 대한 문제이다. 4번 지문 내용 중 상담자의 객관적 이해가 아닌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을 감지하고 내담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감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더욱 강렬하게 경험하는 것과 동시에 내부의 불일치를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4번이 틀린 지문이다.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필기 기출 - 포괄적 직업상담 문제 분석 (0) | 2025.06.01 |
---|---|
2021년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학 필기 기출 - 특성요인상담 문제 분석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