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분석/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지표 MBTI의 4가지 양극 차원의 선호 부분

summeru 2024. 7. 17. 15:30
반응형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지표 MBTI의 4가지 양극 차원의 선호 부분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지표(MBTI ; Myers Briggs Type Indicator)는 4개의 양극차원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하는데 각 차원별로 2개의 선호 중의 하나에 개인을 분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ESTJ, INFP 등 총 16가지의 성격유형들이 만들어진다. 인간은 겉으로 보기에는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변화무쌍해 보이지만 사실 매우 질서 정연하고 일관성 있게 다르다. 일관성과 상이성은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 지금부터 MBTI의 4가지 양극차원의 선호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상담학 실기 기출 문제 - MBTI의 4가지 양극 차원의 선호 부분

1. 외향성(Extroversion) - 내향성(Introversion) 

외향성과 내향성은 주의집중의 방향과 에너지의 원천으로 개인이 외향적인지 내향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한다. 외향성은 에너지가 외부세계의 일이나 사람에게 향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말하는데 반해 내향성은 에너지를 내부세계의 아이디어에 집중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말한다.

2. 감각형(Sensation) - 직관형(Intuition)

감각형과 직관형은 정보수집(인식) 기능으로 사물을 볼 때 개인이 선호하는 정보수집방법 및 인식방법을 말한다. 감각형은 오감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식되는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반대로 직관형은 육감을 통하여 얻은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실제로 존재하는 것보다는 있음 직한 것 혹은 있을 법한 것, 즉 숨어 있는 의미를 알아차리는 것과 관련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3. 사고형(Thinking) - 감정형(Feeling)

사고형과 감정형은 판단과 결정을 말하며 수집한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선호하는 판단방법이다. 사고형은 판단을 할 때 사실과 논리에 근거를 두고 객관적인 가치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것을 선호하는 판단방법이다. 반면 감정형은 개인적인 가치와 인간중심적 가치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다.

4. 판단형(Judging) - 인식형(Perceiving)

판단형과 인식형은 외부세계를 받아들이는 방식이나 외부세계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인의 생활양식 및 행동양식을 반영한다. 판단형은 무엇이든 나름대로 판단을 해서 빨리 결정을 내리는 것을 선호하며 계획적이고 조직화된 방법으로 생활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인식형은 결정을 가능한 한 미루면서 새로운 가능성의 소지를 남겨두는 것을 선호하며 상황에 맞게 보다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방식으로 생활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