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의 유형과 상담의 목적행동주의 직업상담은 기존의 직업상담 접근법들이 과정보다 내용을 강조하면서도 반면 행동주의 접근법은 직업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정만을 다룬다. 직업상담의 초점은 내담자의 불완전하고 부적응적인 학습의 발생 원인을 밝혀 이를 변화시키고자 한다. 굿스타인(Goodstein)은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으로 불안을 강조하였고 상담을 통해서 불안을 제거 또는 줄여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였다. 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의 유형으로는 우유부단형과 무결단성이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봄과 동시에 상담의 목적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다.◎ 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의 ..